-
- [윤여금의 여행이야기 5] 홍성, 용과 봉황이 품은 용봉산의 용봉사
- [윤여금 기자] 용봉사는 충남 홍성군 홍북면 용봉산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후기에 창건된 사찰이고,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은 형상의 용봉산(381m)이 용...
- 2023-02-07
-
- 보성서 태어나 갑신정변때 멸문지화한 서재필
- [박광준 기자] 서재필 선생은 1864년 1월 7일 전라도 보성군 문전면 가천리(현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용암리 가내마을)에 있던 외가 성주 이씨 집안에서 동복 ...
- 2023-02-04
-
- 한국의 작은티벳! 대원사 티벳박물관
- [박광준 기자] 달라이라마와의 인연의 씨앗으로 티벳불교의 관심과 티벳박물관의 건립은 시작됐다.현장스님과 달라이라마티벳불교와의 첫 인연은 1987년 인도...
- 2023-02-04
-
- [윤여금의 여행이야기 4] 홍성군, 오관리 당간 지주(幢竿支柱)
- [윤여금 기자] 오관리 당간지주(幢竿支柱)는 충남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297-1에 자리하고 있고, 1971년 7월 7일 고려시대 보물 제 538호 지정됐다. 홍성 오관리 당...
- 2023-02-01
-
- [윤여금의 여행이야기 3] 홍성, 고암 화백의 생가 작은 마을
- 이응노 생가 [윤여금 기자] 이응노 화백은 (1904~1989) 충남 홍성군 중계리 평온한 작은마을에서 태어나 17세까지 자랐다. 그는 그림 그리기를 무척 좋아해 도와주...
- 2023-01-30
-
- [윤여금의 여행이야기 2] 홍성, 전국 두 번째 많은 순교자의 성지 땅
- [윤여금 기자] 홍주(지금의 홍성)는 바다와 인접해 외국 문물 수용의 창구역할을 했으며, 천주교를 받아들이는 시기와 전파속도가 빨라 1700년대 신도 수가 전...
- 2023-01-22
-
- [윤여금의 여행이야기1]홍성 월백산과 홍주를 구한 ‘홍가신의 자랑스런 구국정신’
- [윤여금 기자] 이몽학의 난은 왜란의 혼란 속에서 1596년 7월 6일 (선조 29), 충청도 홍산현 무량사에서 일어난 사건으로 임진왜란 와중에 벌어진 반란 중 최대 ...
- 2023-01-11
-
- 정약용이 '목민심서'를 비롯해 숱한 저서 남긴 '다산초당'
- [박광준 기자]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에 위치한 다산 정약용과 관련된 문화재로, 1963년에 다산초당을 포함한 관련 유적 일대가 사적 제107호로 지정됐...
- 2023-01-11
-
- 강진에 있는 영랑 생가
- [박광준 기자] 영랑 생가는 집주인이 여러 번 갈리면서 원래의 모습이 조금 바뀌었으나 1985년 강진군에서 사들여 원형에 가깝게 복원했다. 동백나무 몇 그루가...
- 2023-01-05
-
- 진주 촉석루-평양 부벽루와 함께 우리나라 3대 누각 '영남루'
- [이승준 기자] 남원에 광한루, 삼척에 죽서루가 있다면 밀양에는 영남루(嶺南樓)가 있다. 영남루가 처음 지어진 것은 고려시대로, 영남루가 있는 이 터에는 원...
- 2022-12-30
-
- 진주의 역사와 문화가 집약돼 있는 진주의 성지 '진주성(晉州城)'
- [박광준 기자]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고려후기에 개축된 석축 성곽으로 임진왜란 당시 3대 대첩의 하나인 진주성 대첩을 이룬 곳이다. 당시 진주는 군량 보...
- 2022-12-18
-
- 오랜 역사와 가을 햇살이 가득 담긴 밀양 위양지
- [박광준 기자] 통일신라 때 축조한 저수지로 SBS 드라마 ‘달의연인-보보 경심 려’ 방송 이후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비밀의 정원 위양지(位良池)는 ...
- 2022-12-17
-
- 금시당 이광진의 별업 밀양 '금시당 백곡재'
- [이승준 기자] 금시당 백곡재는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사묘재실로, 1996년 3월 11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됐다.금시당은 명종 때 문...
- 2022-12-03
-
- [수원화성 둘러보기3] 실용적인 구조로 돼 있는 동양 성곽의 백미 '수원화성(3)’
- 지난호에 이어 [박광준 기자] /다음호에 계속# 화성 포루수원 화성(華城, 사적 제3호)을 방어키 위해 설치한 포진지(砲陣地)이다. 성벽의 일부를 凸자 모양으로 ...
- 2022-11-16
-
- 일제강점기, 가장 많은 변화상을 겪었던 ‘경희궁(慶熙宮)’
- [박광준 기자]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문로에 있는 조선후기 왕의 피우(避寓)를 위한 이궁으로 건립된 궁궐로, 본래 경덕궁(慶德宮)으로 불렸다. 처음 창건 때는 ...
- 2022-11-13
-
- [철도역 이야기 7] 천년사찰의 관문 '용문역'
- [박광준 기자] 중앙선의 철도역으로, 1941년 4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한국전쟁 때 역사(驛舍)가 소실됐다가 1957년 6월 14일 역사를 신축해 2009년 2월 ...
- 2022-11-09
-
- 용문산 지구전적비
- [박광준 기자]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5월, 용문산에서 한국군 6사단이 방어선을 돌파하려는 중공군 제63군과의 육박전 끝에 공격을 저지했는데, 이를 용문...
- 2022-11-09
-
- 판소리계 소설 '춘향전'의 무대이며 국악의 성지 ‘광한루’
- [박광준 기자] 광한루원은 우리나라 4대 누각의 하나인 광한루와 함께 하늘의 옥황상제가 살던 궁전 ‘광한청허부’를 지상에 건설한 인간이 신선이 되...
- 2022-11-07
-
- [폰으로 만난 문화 & 역사 111] 조선총독부 철거부재 전시공원
- [박광준 기자] 조선총독부는 한국을 영원히 지배하기 위해 일제가 설치한 식민통치기관이었다. 일제는 조선 왕조의 기운을 억누를 목적으로 경복궁의 강령전...
- 2022-11-06
-
- [폰으로 만난 문화 & 역사 110] "애국선열들의 불굴의 민족혼-자주 독립의지가 담긴 어록"
- [이승준 기자] 독립기념관 경내에는 야외 전시물인 애국 선열들의 시.어록비가 건립돼 있다. 여기에는 이순신 등 전통시대에 국난을 극복한 인물과 김구 등 일...
- 2022-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