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유산 조선왕릉 40기, 모두 열린다...서삼릉 효릉 9월 개방
-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제공[이승준 기자] 그동안 일반인 관람이나 출입이 제한됐던 경기 고양 서삼릉 내 효릉(孝陵)이 다음 달부터 관람객을...
- 2023-08-24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31] 고종과 명성황후의 묘 ‘홍릉洪陵’
- [이승준 기자] 홍릉은 대한제국 1대 고종태황제와 명성태황후 민씨의 능으로, 기존 조선왕릉의 형식과 다른 대한제국 황제릉의 형식으로 조성됐다. 이는 고종...
- 2022-08-02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30] 순종과 순명황후.순정황후의 능 ‘유릉裕陵’
- [이승준 기자] 유릉은 대한제국 2대 순종효황제와 첫 번째 황후 순명효황후 민씨와 두 번째 황후 순정효황후 윤씨의 능으로, 유릉은 합장릉의 형태로 한 봉분 ...
- 2022-08-02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9] 철종과 철인황후의 능 '예릉睿陵'
- [이승준 기자] 예릉은 조선 25대 철종장황제와 철인장황후 김씨의 능이다. 하나의 곡장 안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
- 2022-08-01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8] 24대 헌종과 효현황후·효정황후의 능 '경릉景陵'
- [이승준 기자] 경릉은 조선 24대 헌종성황제와 첫 번째 왕비 효현성황후 김씨와 두 번째 왕비 효정성황후 홍씨의 능으로, 경릉은 세 개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 2022-07-31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7] 추존 문조와 신정황후의 능 ’수릉綏陵‘
- [이승준 기자] 수릉은 추존 문조익황제와 신정익황후 조씨의 능으로, 수릉은 한 봉분 안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合葬陵)의 형식이다. 보통의 합장릉...
- 2022-07-31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6] 23대 순조와 순원황후의 능 ‘인릉仁陵’
- [이승준 기자] 인릉은 조선 23대 순조숙황제와 순원숙황후 김씨의 능으로, 인릉은 같은 봉분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의 형식이다. 우왕좌비(右王左妃)...
- 2022-07-31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5] 22대 정조선와 효의황후의 능 ‘건릉健陵’
- [이승준 기자] 건릉은 조선 22대 정조선황제와 효의선황후 김씨의 능으로, 건릉은 같은 봉분에 왕과 왕비를 같이 모신 합장릉의 형식이다.진입 및 제향공간에...
- 2022-07-30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4] 추존 장조와 헌경의황후 홍씨의 능 ‘융릉隆陵’
- [이승준 기자] 융릉은 추존 장조의황제와 헌경의황후 홍씨의 능으로 합장릉의 형태로, 1789년(정조 13)에 배봉산에서 현재의 자리로 옮기면서 현륭원(顯隆園)으...
- 2022-07-30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3] 추존 진종-효순소황후 조씨의 능 ‘영릉永陵’
- [이승준 기자] 영릉은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순소황후 조씨의 능이다. 영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의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
- 2022-07-30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2] 21대 영조와 정순왕후 김씨의 능 ‘원릉元陵’
- [이승준 기자] 원릉은 조선 21대 영조와 두 번째 왕비 정순왕후 김씨의 능으로, 쌍릉의 형태이며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서쪽)이 영조, 오른쪽(동쪽)...
- 2022-07-28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1] 20대 경종과 선의왕후 어씨의 능 ‘의릉懿陵’
- [이승준 기자] 의릉은 조선 20대 경종과 두 번째 왕비 선의왕후 어씨의 능이다. 의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이 앞뒤로 나란히 배치한 동원상하릉의 형...
- 2022-07-28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20] 19대 숙종과 인현왕후.인원왕후 '명릉明陵'
- [이승준 기자] 명릉은 조선 19대 숙종과 두 번째 왕비 인현왕후 민씨와 세 번째 왕비 인원왕후 김씨의 능이다. 명릉은 같은 능역 안에 하나의 정자각을 세우고 ...
- 2022-07-27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9] 18대 현종과 명성왕후 김씨의 능 '숭릉崇陵'
- 숭릉 정자각(항공 사진)[이승준 기자] 숭릉은 조선 18대 현종과 명성왕후 김씨의 능으로, 숭릉은 하나의 곡장 안에 봉분을 나란히 배치한 쌍릉(雙陵)형식이다. ...
- 2022-07-25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8] 제17대 임금 효종과 비 인선왕후의 동원상하릉 ‘영릉’
- 효종 영릉[이승준 기자] 영릉은 조선 제17대 임금 효종과 비 인선왕후의 동원상하릉이다. 왕릉과 왕비릉이 한 언덕에 같이 있는 경우 대개는 봉분을 나란히 두...
- 2022-07-25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7] 16대 인조와 첫 번째 왕비 인열왕후 한씨의 능 ‘장릉長陵’
- [이승준 기자] 장릉은 조선 16대 인조와 첫 번째 왕비 인열왕후 한씨의 능으로 합장릉의 형식이다. 장릉은 원래 파주 운천리에 있었다가 1731년(영조 7)에 현재의...
- 2022-07-24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6]추존 원종과 인헌왕후의 능 ‘장릉章陵’
- [이승준 기자] 장릉은 추존 원종과 인헌왕후 구씨의 능이다. 장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의 형식으로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
- 2022-07-23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5] 제15대 광해군.문성군부인 광해군묘(光海君墓)
- [이승준 기자] 광해군묘는 조선 15대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류씨의 묘소이다. 묘소는 왕자 묘제의 예로 조성됐다. 쌍분의 형태로 조성돼 병풍석과 난간석을 생...
- 2022-07-23
-
- [조선 왕릉 이어보기14] 14대 선조와 첫 번째 왕비 의인왕후.인목왕후 김씨의 능 ‘목릉穆陵’
- [이승준 기자] 목릉은 조선 14대 선조와 첫 번째 왕비 의인왕후 박씨와 두 번째 왕비 인목왕후 김씨의 능이다. 목릉은 같은 능역 안에 각각 다른 언덕에 능침을 ...
- 2022-07-19
-
- [조선 왕릉 이어보기 13] 13대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능 ‘강릉康陵’
- [이승준 기자] 강릉은 조선 13대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능으로, 강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의 형식이다. 정자각 앞에서 바라...
- 2022-07-19
- 동작구 둘러보기더보기
-
-
- [동작구 둘러보기 40] ‘공작포란형’, 공작이 알을 품고 있는 듯 상서로운 기맥이 흐르는 곳 ‘국립묘지(2)’
- [박광준 기자] # 무후선열제단이 제단은 독립운동을 하다가 순국, 또는 묘소가 없거나 후손이 끊어진 선열들을 위한 제단으로 유관순.이상설.이위종 등 107인이 모셔져 있다. 이 제단은 1975년 8월 15일 건립한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단층 건물로 길이 19.6m, 폭 4m, 면적 85.14m2이다. 이 제단 입구에 설치된 이 문은 설치돼 있는 문은 1979년 설치...
-
- [동작구 둘러보기 39] ‘공작포란형’, 공작이 알을 품고 있는 듯 상서로운 기맥이 흐르는 곳 ‘국립묘지(1)’
- [박광준 기자] 서울 동작구 동작동에 위치한 국립묘지는 국가와 민족을 위해 순국한 호국영령들이 잠들어 있는 민족의 성역으로, 관악산 기슭에 자리잡은 동작의 능선이 병풍치듯 감싸고 있고, 앞쪽으로는 한강수가 굽이쳐 흐르는 43만평의 포근한 땅에 마련되어 있다. 즉 지형적으로 관(冠)을 쓴 듯 봉우리가 솟았다 해 관악산이고, 붓끝과 .
-
- [동작구 둘러보기 38] 한국 영화 실미도 2003 와 북파 특수 부대들...영화 '실미도' 사건 현장
- [박광준 기자] 강우석 감독의 영화 '실미도 2003'는 한국 영화 역사에서 최초로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면서 한국 영화 시장 확장에 큰 기여를 했다.이 영화는 북파 특수 부대였던 '실미도 684 부대'를 모델로 그들이 겪은 3년간의 일들을 바탕으로 제작됐다. 최초의 북파 공작 부대는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육군 첩...
-
- [동작구 둘러보기 37] 영화 '기생충' 촬영지 '스카이피자'
- [박광준 기자] 기택(송강호) 가족이 피자 박스 접는 아르바이트를 하고, 박 사장네 가정부인 문광( #이정은)을 몰아내기 위해 모의하던 피자 가게는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에 있다. 영화에서는 ‘피자시대’로 나오지만 실제 이름은 ‘ #스카이 피자’에요. 한적한 주택가에 있는 스카이피자는 2004년부터 이 자리에...
-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
-
- [박정기의 공연산책 314] 제23회 월드2인극페스티벌 경남지회 극단 벅수골, 김은민 연출 '봄이 오면'
- 민송아트홀에서 제23회 월드2인극페스티벌 경남지회 극단 벅수골으 김선율 작 김은민 연출의 봄이 오면을 관람했다.무대는 페업처분하려는 우리책방이다 중앙에서 하수쪽으로 책장과 장서가 자리를 잡고 하수쪽 벽에 책상과 테이블, 그리고 테이블 위에 매화꽃아 화병에 꽃혀있다. 상수쪽에는 작은 벤치가 놓이고 잎이 떨어진 나무 한그루.
-
- [박정기의 공연산책 313] 프로젝트 별이총총, 김주현 각색/연출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 놀터예술공방소극장에서 프로젝트 별이총총의 레프 톨스토이 작 김주현 각색 연출의 를 관람했다.김주현(1969~)은 의 회원이고, 연극 , 영화 [기억을 담아내다] [더덕구이] [미싱] 드라마 [맨발의 청춘] [무적의 낙하산 요원] 외다수작에 출연한 미모의 배우이자 연출가다,톨스토이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는...
-
- [박정기의 공연산책 312] 제 23회 월드2인극페스티벌 극단 로얄씨어터, 윤여성 연출 '스카프와 나이프'
- 후암스테이지에서 제 23회 월드2인극페스티벌 극단 로얄씨어터의 김수미 작 윤여성 연출의 스카프와 나이프를 관람했다.김수미(1970~)는 서울예술대학 극작과, 한국방송통신대학 문화교양학과,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한 미녀 극작가다.창작산실 선정작 , 제2회 대한민국연극제 서울대회 금상 (연기상 전국...
-
- [박정기의 공연산책 311] 프로젝트 해동머리, 문삼화 연출 '903호'
- 북촌창우극장에서 프로젝트 해동머리의 김황도 작 문삼화 연출의< 903호>를 관람했다.김황도(1970~)는 배우 겸 작가다, 이브의 유혹, 스승의 은혜, 목포는 항구다, 슈퍼스타 감시용, 로드 무비, 박하사탕, 숲속의 방 등에 출연한 미남이다.문삼화 신임 서울시극단 예술감독은 2003년 연극 ‘사마귀’로 공식 데뷔하여 10년 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