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흥보가)’ 보유자 인정
  • 민병훈 기자
  • 등록 2020-07-04 13:55:21
  • 수정 2020-07-05 09:31:51

기사수정

심청가 김영자[민병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의 보유자를 인정(흥보가).인정 예고(심청가)하고,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등 예능 분야 8개 종목의 전수교육조교 11명을 명예보유자로 인정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흥보가)에서는 정순임(鄭順任, 여, 1942년생), 이난초(李蘭草, 여, 1961년생) 씨가 판소리(흥보가)의 전승능력과 전승환경, 전수활동 기여도가 탁월한 점을 인정받아 30일 간의 인정 예고 기간과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유자로 인정됐다.


정순임 씨는 고(故) 장월중선(1925~1998) 명창의 딸로 고(故) 박송희(1927~2017) 전 보유자에게 흥보가를 이수했고, 2007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판소리(흥보가)’ 보유자로 인정돼 지역 내 판소리 전승활동에 힘써 왔다.
 심청가 정회석

이난초 씨는 고(故) 강도근(1918~1996) 전 보유자에게 흥보가를 이수했고, 전라북도 남원을 기반으로 동편제 소리를 계승해 많은 제자를 양성해 왔다.


한편,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심청가)에서는 김영자(金榮子, 여, 1951년생), 정회석(鄭會石, 남, 1963년생) 씨가 보유자로 인정 예고됐다.
 
김영자 씨는 8세부터 정권진(1927~1986) 전 보유자에게 심청가, 춘향가를 배우면서 판소리에 입문했다. 이후 김준섭(1913~1968) 명창을 비롯해 정광수(1909~2003), 김소희(1917~1995), 박봉술(1922~1989), 성우향(1935~2014) 전 보유자들에게 소리를 배웠다. 


흥보가 이난초

1987년 판소리(수궁가) 전수교육조교로 인정돼 전승활동에 힘써왔고 풍부한 창극 활동에서 우러난 발림과 아니리 표현이 뛰어나다는 평을 받는다.


‘판소리(심청가)’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정회석 씨는 정재근-정응민-정권진으로 이어지는 판소리 명창 집안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부친 정권진 전 보유자에게 판소리를 배웠다. 부친 작고 후에는 성우향 전 보유자에게 입문해 춘향가를 이수한 이래 현재까지 판소리 전승을 이어가고 있다. 정회석 씨는 보성소리의 고제(古制) 창법을 잘 구사하면서 풍부한 중하성(重下聲)이 특징이라는 평을 받는다.  
 
문화재청은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심청가)’ 보유자 인정과 관련하여 김영자, 정회석 씨에 대해서 30일 간 예고하고, 이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 무형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보유자 인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흥보가 정순임

이와 함께 문화재청은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최충웅(崔忠雄, 남, 1941년생, 경기 의왕시) 등 11명(8개 종목)의 전수교육조교를 20년 이상 무형문화재 전수교육‧전승활동에 헌신해 무형문화재 전승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해 명예보유자로 인정했다. 


한편, 이번에 명예보유자로 인정된 8개 종목 11명은 전수교육조교로는 처음으로 명예보유자 인정을 받았다. 문화재청은 정부혁신의 일환으로 추진된 관련 법 개정(2018.12월) 이후 ▲ 75세 이상, ▲ 전수교육조교 경력 20년 이상의 대상자 가운데 신청을 받아 명예보유자 인정 예고,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했다. 


명예보유자 제도는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나 전수교육조교가 건강 문제로 전수교육이나 전승활동을 정상적으로 펼치기 어려운 경우, 그간의 공로를 고려해 우대키 위해 마련한 제도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