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손유순의 ‘도자기 인생(1)’] '오묘한 빛깔의 청자 표현할 수 있을까?'
  • 손유순 자문위원
  • 등록 2020-08-24 00:28:00
  • 수정 2020-09-12 01:27:35

기사수정

청자상감용당초문매병/靑磁象嵌龍唐草文梅甁

경기도 이천에서 태어나 1972년 18세에 청자 만드는 곳을 처음 견학을 하면서 내게 유일한 행운이었는지 모른다. 어려서부터 그림을 좋아 했고 또 그 길로 성공하고자 했던 천재일우(千載一遇)의 기회가 찾아온 것이다. 


도자기를 까맣게 몰랐던 내게는 모든 것이 신비로웠다. 흙과 불의 예술 도자기에 인생을 걸기로 마음을 먹었다. 이론은 아예 몰랐지만 체험으로 터득 할 수 있었다. 도자기에 대한 역사도 차츰 알게 되었다. 도자기에 대한 까막눈이 열리기 시작 하면서 도자기는 가까이 다가왔지만 가야할 길은 더욱 멀어 보였다.


그 무엇으로 오묘한 빛깔의 청자를 표현할 수 있을까? 그래서 청자의 신비를 푸는 일을 숙제처럼 느끼며 초년을 살았다. 그릇을 아무리 예쁘게 빚었다고 해서 다 도자기로 태어나는 것은 아니다. 여러 가지의 원료를 배합한 유약과 불의 조화가 뒤따르지 않고는 이뤄질 수없는 것이 도자기다. 


철저한 실험을 거쳐 손끝에 익어야 비로소 하나의 도자기가 완성 된다. 흙과 불을 제대로 다스릴 줄을 알아야 한다는 이야기다. 청자의 전성기를 누렸던 시대의 역사까지 숱한 애환을 간직했을 청자의 재현은 나의 꿈이기도 했다. 국립박물관 견학을 하면서 도자기 제작 현장에서 보는 청자와 박물관에서 보는 고려청자의 빛깔은 큰 차이가 있었다. 


참나무 재를 이용해 푸른색을 내기 위해 실험을 수차례 반복을 하면서 천년의 비색을 재현키 위해 노력을 했다. 은은하고 아름다운 고려청자의 비색은 어느 나라도 재현하지 못한 고려만의 우수성이다. 


그러나 청자 참나무 재유가 까다롭고 번거로워 현재는 산화철(Fe₂O₃)이나 산화크롬(Cr₂O₃)등과 같은 안료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옛 고려청자의 맑고 따뜻한 느낌을 주는 전통기법인 청자 참나무 재유를 1999년 청자 참나무 재유를 개발해여 우리의 아름다운 고려청자의 비색을 재현해 냈다.


청자 참나무 재유는 박지(剝地) 인화(印花) 상감(象嵌)기법 등에서 백화장토의 빛이 여느 청자들과 달리 푸른빛을 전혀 머금지 않은 흰빛 그대로를 나타나게 하고, 상형(象形)이나 양각(陽刻) 투각(透刻) 기법에서는 푸른빛의 고여 있는 느낌이 아닌 맑고 신비로운 비색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


 # 소정 손유순/1990 - 현재  소정도예연구소장, 1999 - 2000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도자기기술학과 강사, 2001-경기도세계도자기엑스포 개막식(김대중 대통령 접견), 2002-국제도자 워크샵 초대작가 – 한국도자재단, 2004-경기도으뜸이 도자기 부문 선정(청자 참나무재유 개발)-경기도지사, 2014-사단법인) 다온시문화협회 시인, 본지 도자기 부문 자문위원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