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우정수 '나르키소스' (116.8×91㎝) 전시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2-11-17 07:34:02

기사수정


[이승준 기자] 팰린드롬(Palindrome)을 환언하면 회문(回文)이라 한다. 'eye'나 '우영우'처럼 역순으로 읽어도 같은 말이 되는 단어나 구를 뜻한다.


작가 우정수는 단어 팰린드롬에서 자기애에 갇힌 현대인 초상을 발견해냈다. 자아에서 대상으로 나아가려 해도, 처음으로 되돌아오고야 마는 것. 자기 내 폐쇄성은 때로 현대인 삶의 방편이고, 그런 점에서 우리는 연못에 비친 자신을 쳐다보는 고대 신화 속 인물 나르키소스를 하나씩 가슴에 품고 산다.


나르키소스 이미지를 현대인 모습으로 재해석한 우정수 개인전 '팰린드롬'이 성북구 BB&M에서 오는 12월 17일까지 열린다. 나르키소스의 생의 단서를 평면의 미로처럼 숨겨둔 20점의 캔버스를 미리 살피며 작가와 이야기를 나눠 봤다. 


"수많은 예술가가 나르키소스를 레퍼런스(참조)로 삼았지만 결과는 다 달랐다. 나르키소스의 자기애적 죽음이, 그가 생명을 읽어가던 찰나가, 또 에코가 그와 사랑에 빠지는 순간이 수세기 동안 예술의 재료가 됐다. 이번 전시의 나르키소스는 '스스로 관찰 대상이 되기를 자처하는' 자기애적 인물이다."


몸을 바짝 엎드려 수면에 비친 자신에게 감탄하는 나르키소스, 그를 흠모하지만 나무 뒤에 숨은 요정 에코 등의 이미지가 현대인의 내면을 겨냥하는 단서처럼 배치돼 있다. 한 송이의 수선화가 눈길을 끈다. 수선화는 신화 속 나르키소스가 죽은 자리에 핀 꽃이다. 우정수의 나르키소스는 비극적이지만은 않다. 수선화는 최후의 순간 이후의 절정을 떠오르게 한다.


다층적인 레이어, 반복되는 패턴도 놓칠 수 없다. 오직 우리 눈앞에 놓인 한 이미지를 위해 축적됐다. 스텐실로 작업한 꽃무늬 패턴도 시선을 끈다. 


우정수는 "값싼 노래방이나 싸구려 술집에나 있을 법한 문양이지만 중산층을 향한 현대인 열망의 껍데기처럼 느껴져 구성했다"고 강조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