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28]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 '양기탁'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2-12-07 03:01:47

기사수정

[이승준 기자] 양기탁 梁起鐸, 1871.04.02 ~1938.04.19. 평안남도 강서, 대통령장 1962


양기탁 선생은 1904년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했다. 1907년 안창호 선생 등과 조국 광복을 도모하기 위한 비밀결사인 신민회를 조직했다. 1920년 <동아일보> 창간 때 편집고문에 취임하였으며, 고려혁명당을 세워 무장투쟁을 지원했다. 투옥과 탈출, 투쟁을 쉼 없이 이어나갔으며 1934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이 되었다.


# 일찍 영어 공부한 개화파 청년


양기탁(梁起鐸, 1871. 4. 2 ~ 1938. 4. 19) 선생은1871년 평남 평양 소천(小川)에서 부친 시영(時英)과 모친 인동 장씨(仁同張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명(兒名)은 의종(宜鐘), 자(字)는 자명(子明), 아호는 우강(雩岡), 본명은 기탁(起鐸)이다. 선생은 어릴 적에 양친의 지혜로운 가정 교육을 받아 한문사숙(漢文私塾)에서 총명한 아이라는 칭찬을 받았다.


15세가 되던 해에 문장이 뛰어나 큰 포부를 가지고 아버지를 따라 상경하여 우연히 평북 위원(渭原)에 사는 유림의 명망가이며 우국지사인 나현태(羅鉉泰)를 만나 그의 심오한 학문과 높은 인격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또한 외국어학원에서 영어를 공부하여 일찍이 서양문물에 접함으로써 개화파 청년이 되었다.


# 미국 일본 방문, 서구문명에 눈 떠


1895년 12월부터 1897년 3월까지 미국인 게일(Gale, J. S, 奇一) 박사가 ≪한영자전≫(韓英字典)을 편찬하는데 참여하였으며, 1898년에는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에 참여하여 부총무장(副總務長)급으로 적극 활동을 하다가 피체되었다. 출옥 후 일본 장기(長岐)를 거쳐 미국에 건너가 3년간 있으면서 견문을 넓힌 후 33세가 되던 해에 귀국하였다.


대한매일신보 사옥 전경1902년 이상재(李商在)·민영환(閔泳煥)·이준(李儁)·이상설(李相卨) 등과 함께 개혁당(改革黨)을 조직하여 대혁신을 추진하다 피체되었으며, 출옥 후에는 한때 한성전기회사(漢城電機會社)의 사무원으로 취직하여 근무하기도 하였다. 1904년 3월 황실의 외교 담당부서인 궁내부(宮內府) 예식원(禮式院)의 영어통역관에 임명되었으며, 러일전쟁에서 승기를 잡은 일제가 황무지 개척권을 요구하자 이에 반대하는 보안회의 활동에 가담하였고, 보안회가 해산 당하자 그 후속단체인 대한협동회(大韓協同會)를 조직하여 지방부장의 책임을 맡아 활동하였다.


# <대한매일신보> 창간하여 애국계몽운동을 지지


선생은 한국인의 민족의지를 세계만방에 알리고 외세의 침략 사실을 국민에게 알리는 일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선생은 내탕금(內帑金)과 이용익(李容翊)·민영환 등의 자금 지원을 받아 영국 데일리 뉴스(THE DAILY NEWS) 임시특파원인 배설[裵說](Ernest T. Bethell:1872-1909)을 사장으로 추대하고 선생은 총무가 되어 1904년 7월 18일 마침내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를 창간하였다. 제작진은 주필 박은식(朴殷植)을 비롯하여 신채호(申采浩)·최익(崔益)·옥관빈(玉觀彬)·변일(卞一)·장도빈(張道斌) 등이었고, 영업진은 임치정(林蚩正)·안태국(安泰國) 등이었다.


양기탁이 만주에서 안창호에게 보낸 편지(1916.10.17)처음에는 1896년 <독립신문>의 모범을 따라 1일 6면에 국문 전용의 한글판과 영문판을 같이 수록하여 발간하다가 1905년 8월 11일부터 국문판은 국한문 혼용의 <대한매일신보>로 바꾸고 영문판은 별도로 '코리아 데일리 뉴스(Korea Daily News)'라는 제호(題號)로 나누어 발행하였다. 뒤에 1907년 5월 7일부터 국한문 전용판으로서 <대한매일신보>를 역시 별도로 발행하였다. 이 신문은 당시 영국인의 명의로 발행되었기 때문에 일제 통감부 당국의 검열을 피할 수 있었고, 또 일본 관헌의 사옥 출입을 금하는 방을 붙이기도 했다.


1907년 1월 16일에 을사조약의 무효를 선언한 광무황제의 친서가 미국, 러시아, 독일, 프랑스 등에 전달되었다는 사설을 크게 보도하였으며, 장지연이 1905년 11월 20일 <황성신문>에 쓴 논설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을 이튿날 즉각 전재하고 영문판에도 영어로 번역 게재하여 세계에 알렸다. 또한, 1909년 10월 26일에는 이토 히로부미가 안중근 의사에 의해 처단되었다는 소식을 호외로 보도하기도 하였으며, 국제 여론을 조성하기 위하여 간행된 영문판은 일제의 침략상과 한국의 독립의지를 세계에 알리는데 획기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당시 다른 신문에서는 일제의 소위 <신문지법>에 의하여 의병운동(義兵運動)을 보도하지 못하였으나 <대한매일신보>는 의병활동을 상세히 게재하고 이를 높이 평가함은 물론 항일의식 고취와 구국언론운동에 적극 앞장서 민족의 대변지로 성장하였다. 또한 1907년 5월 23일부터는 한문을 해독 못하는 백성들을 위하여 한글판인 <대한매일신보>를 발행하였다. 1908년 5월 현재의 발행부수는 한글, 국한문영문판을 모두 합쳐 13,400부였으며, 지사(支社)는 1907년 11월 현재 모두 32곳이었다.


# 국채보상운동 추진하다가 투옥


의성단 관련 기사1907년 1월 대구에서 시작한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자 <대한매일신보>에서는 신문사 안에 국채보상지원금총합소(國債報償支援總合所)를 개설하여 많은 보상금을 모금하였다. 일제는 당시 총무직을 맡고 있던 선생을 국채보상금 횡령이라는 터무니 없는 혐의를 씌어 구속하였으나 사장인 베델이 증거를 들어 허위 조작된 것임을 증명함으로써 결국 2개월 만에 무죄로 풀려났다. 선생은 또한 <대한매일신보>를 주도하며 발행하던 기간에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 광무사(光武社), 서우학회(西友學會), 서북학회(西北學會), 국문연구회(國文硏究會) 등에 참가하여 애국계몽운동을 적극 전개하였다. 1907년 4월에는 안창호 선생과 함께 구국운동을 위한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를 창립하였다. 창건위원은 선생을 비롯하여 전덕기(全德基)·이동휘(李東輝)·이동녕(李東寧)·이갑(李甲)·유동열(柳東說)·안창호(安昌浩) 등 7인이었다.


# 비밀결사 신민회 결성, 전국 조직화


당시 선생은 <대한매일신보> 주필과 국채보상기성회의 총무로서 국권회복을 위한 애국계몽운동의 유력한 지도자였으며 국내의 애국인사들과 긴밀한 유대를 가지고 있었다. 국민들로부터도 존경을 받고 있었다. 신민회의 총감독은 선생이 맡고, 총서기에 이동녕, 재무에 전덕기, 집행은 안창호가 담당하였다. 다른 창건위원들은 각도의 총감을 맡았다. 신민회 본부는 대한매일신보사 안에 두고 지방지국을 연락망으로 구성하였으며 조직을 도, 군, 반단위까지 점조직으로 세포조직화하여 누가 회원인지 모르게 하였다. 창건위원들은 신민회 창립 후 즉각 자기의 영향력 범위 안에 있는 인사들을 가입시켜, 1910년경에는 약 800명의 회원으로 증가하였다. 이것은 당시의 영향력 있는 애국계몽운동가들을 거의 망라한 것이었다.


억지로 꾸며낸 소위 음모사건 심판 시작’1909년 봄 의병들의 항일투쟁이 쇠퇴해질 무렵 신민회는 국외 독립군기지와 독립군 창건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기 위하여 선생의 집에서 전국 간부회의를 개최하였다. 국외에 독립군 기지를 건설하여 무관학교(武官學校)를 설립하고, 독립군을 양성하여 절호의 기회를 포착, 국내 진입작전으로 국권을 회복하려는 ‘독립전쟁전략’을 채택함과 동시에 그의 실천을 위하여 1910년 8월 선생 자신이 직접 독립군기지를 물색하기 위하여 만주(滿洲)를 답사하였으며 1910년 12월에는 이동녕·이회영 선생 등을 출발시키어 결국 신흥학교를 설립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것을 눈치챈 일제는 황해도에서 안명근(安明根) 선생의 ‘군자금모금사건’과 연계하여 1911년 1월 ‘안악사건’(安岳事件)과 ‘양기탁 등 보안법 위반사건’을 만들어 선생을 포함하여 16명의 신민회 중앙 간부들을 체포하여 투옥시켰다.


# 투옥, 유배, 탈출, 항일, 투옥, 탈출, 무장투쟁…


105인 사건 기소장(양기탁 외 122명 모살미수사건 기소장,1912)뒤이어 일제는 동년 9월 소위 ‘사내정의(寺內正毅, 데라우치 마사타케) 총독 암살음모사건’(일명 : 105인 사건)이라는 것을 날조하여 전국의 신민회 회원 800여 명을 체포하여 그 중 105인을 투옥시켰으며, 선생은 징역 10년을 선고 받고 항소심에서 징역 6년이 확정되어 4년여 동안 옥고를 치르다 1915년 12월 하순에 일단 석방된 후 평남 강남군 쌍룡면 신경리에 유배(流配)되었다. 그러나 1916년 그곳을 탈출하여 만주로 건너가 신흥무관학교와 광복회에서 활동했다. 하지만 중국 천진(天津)에서 다시 일경에게 붙잡혀 1918년 12월 고국으로 압송, 전남 거금도(居金島)에 2년간 유배되었으며, 유배지에서 1919년 3.1운동을 맞이하였다. 1919년 12월 유배가 풀려 서울로 상경하였으며, 1920년 4월 <동아일보>가 창간되자 언론계의 원로로서 유근(柳瑾) 선생과 함께 고문으로 추대되었다. 그리고 동년 5월에는 통천교(統天敎)를 창시했고 이어 8월에는 미국 의원단의 동양 3국 순방을 기회로 ‘미국의원시찰단환영준비위원회’(美國議員視察團歡迎準備委員會)를 조직하였다.


미국 의원 일행이 서울역에 내릴 때에 독립공고서(獨立控告書)를 제출하고 일제히 독립만세를 부르려다가 다시 일경에게 붙잡혀 투옥되었으며, 이 소식에 큰 충격을 받은 어머니가 숨을 거두자 장례식을 치르기 위해 일시 방면된 기회를 이용하여 또다시 만주로 탈출하였다. 1923년 10월 선생은 만주에서 편강렬(片康烈)·남정(南正) 등 동지들과 함께 의성단(義成團)을 조직하였다. 이 단체는 중국 봉천(현재의 심양)의 일본군 전용 만철병원(滿鐵病院)을 습격하는 등 장춘선(長春線) 일대에서 크게 활약한 무장단체였다.


경성지방법원 판결문# 남·북만주 독립운동단체를 통합하여 정의부(正義府) 창립


1922년 오동진(吳東振)·김동삼(金東三) 선생 등 동지들과 함께 광복군총영(光復軍總營)과 군정서(軍政署), 통군부(統軍府), 한교민단(韓僑民團) 등을 통합하여 통의부(統義府)를 창설하는데 기여하였으며, 1924년 11월 지청천(池靑天), 김동삼 등과 함께 통의부, 의성단, 길림주민회(吉林住民會), 광정단(匡正團), 대한군정서(大韓軍政署) 등 남·북만주에 산재한 수십의 무장독립운동단체를 통합하여 정의부(正義府)를 창립하고 의용군을 국내에 파견하여 일제기관 등을 공격케 하였다. 상해에서 국민대표회의(國民代表會議)가 개최되었을 시기에는 국민대표회남만촉성회(國民代表會南滿促成會)를 조직하여 모든 국립운동단체들이 임시정부에 참가하여 대동단결할 것을 주장하고 남만 대표 김동삼 선생을 적극 후원하였다. 선생은 국민대표회의가 개조파와 창조파(創造派)의 대립으로 결렬되자 크게 실망하여 1926년 2월 임시정부로부터 국무령(國務領)으로 취임해 줄 것을 요청 받았으나 거절하였다.


# 고려혁명당 당수 취임, 무장활동


1926년 4월 5일 정의부 대표로서 소련에서 돌아온 주진수(朱鎭洙), 천도교 혁신파인 고려혁명위원회의 김봉국(金鳳國), 형평사(衡平社)의 이동구(李東求) 등 다수의 동지들과 길림에서 고려혁명당(高麗革命黨)을 조직하고 그 위원장(黨首)이 되어 정의부의 항일무장투쟁을 지원하였다.


고등법원 판결문

1927년 4월 안창호 선생이 길림(吉林)에 오자 그와 함께 정의부 계통의 농민조직으로서 농민호조사(農民互助社)를 조직하고, 12월에는 조선독립운동자후원회(朝鮮獨立運動者後援會)를 결성하였다. 1928년 선생은 민족유일당(民族唯一黨) 운동을 적극 추진하여 정의부(正義府), 참의부(參議府), 신민부(新民府)의 3부를 통합하여 1929년 5월 국민부(國民府)를 결성하였다. 1930년에는 남경(南京)으로 가서 관내 한국독립운동단체들의 통합운동을 추진하여 1932년 10월 김규식(金奎植) 선생 등 다수의 동지들과 함께 ‘한국대일전선통일연맹’(韓國對日戰線統一同盟)을 결성하는 데 성공하였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國務領)이 되다


1934년 1월 중국 진강(鎭江)에서 실시한 임시정부 의정원회의에서 국무위원에 선임되고, 제10회 국무회의에서 국무령으로 선출되어 1935년 10월까지 임시정부의 활성화와 민족 대동단결을 위하여 노력하였다. 선생은 임시정부의 국무령으로서 가장 긴급한 일이 독립운동 관련 정당이나 단체를 통합하여 단일 대당(單一 大黨)을 결성하는 것이라고 판단, 1934년 3월 남경에서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제2차 대표회의를 열었다. 그리고 1935년 7월 마침내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대한독립당(大韓獨立黨), 의열단(義烈團),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 신한독립당(新韓獨立黨) 등 5당을 통합한 민족단일당으로서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을 결성하였다.


양기탁 선생의 수형 기록표5당(黨) 합당(合黨) 이후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의 당내 분열이 발생하자, 1937년 8월 지청천·최동오·유동열 선생 등과 함께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을 새로 구성하여 위원장에 추대되었다.

중일전쟁(1937. 7. 7) 발발로 인하여 대일결전이 임박하자 1937년 8월 남경에서 한국독립당, 한국국민당, 조선혁명당 등 3당과 당시 미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있던 대한인독립당, 동지회, 국민회, 애국부인회, 단합회(團合會), 애국단 등 6개 단체를 연합하여 한국광복진선(韓國光復陣線)을 결성하였다.


선생은 오랜 망명생활과 5당 합당 추진과정에서 과로로 병을 얻어 중국 강소성(江蘇省) 율양(栗陽) 길당암(吉堂庵)에서 건강을 회복하려고 요양하였으나 1938년 4월 19일 68세를 일기로 그렇게도 갈망하던 조국광복을 보지 못한 채 파란만장한 일생을 마치셨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사진출처-국가보훈처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성공의 길을 찾아서더보기
 황준호의 융합건축더보기
 칼럼더보기
 심종대의 실천하는 행동 더보기
 건강칼럼더보기
 독자기고더보기
 기획연재더보기
 인터뷰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