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건강칼럼] 중년의 어깨통증은 오십견?
  • 성창훈 대표원장/광명 연세훈정형외과
  • 등록 2024-05-30 09:12:59

기사수정
  • 회전근개파열과 석회성건염도 의심해봐야

성창훈 대표원장/광명 연세훈정형외과 중년의 어깨 통증은 비교적 흔한 증상이지만 원인이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50대 중년을 넘는 나이에 어깨가 아프면 흔히 ‘오십견’으로 생각하기 쉽다. 평소 조금 더 정보를 찾는 분들이라면 ‘회전근개파열’을 의심하기도 한다.


회전근개파열은 어깨의 회전운동을 관장하는 근육에 노화로 인한 염증이 생기거나 파열되는 증상이다. 통증 부위만 놓고 보면 오십견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병의 원인도 치료 방법도 다르며 방치할 경우 오십견보다 더 큰 고통으로 찾아올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오십견과 회전근개파열이 중년에 나타날 수 있는 대표 어깨질환이다. 이 두 상병이 대중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것은 맞지만 의외로 생소하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앓고 있는 어깨 질환도 있다.


오십견, 회전근개파열과 더불어 ‘어깨질환 3총사’라 불리는 석회성건염이 대표적이다. 석회성건염은 어깨에 있는 ‘회전근개’라는 힘줄에 칼슘이 침착해 돌처럼 딱딱하게 굳으면서 생기는 질환이다. 회전근개는 우리 어깨의 운동을 상당부분 좌지우지하기에 파열되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당연히 노화도 더 빨리 된다. 힘줄이 노화되면 힘줄로 가는 혈액 공급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세포 내부에 칼슘이 축적되며 석회가 생성되기 시작하는데 이 석회가 커지면 석회성건염으로 발전하게 된다.


석회성건염은 젊은 연령층도 안심할 수 없다. 무리한 어깨 사용,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 잘못된 습관, 운동 중 부상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피로가 쌓이게 되면 발생할 수 있다. 평소 무리한 운동을 자주하거나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라면 나이에 상관 없이 걸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석회성건염은 극심한 어깨 통증을 동반한다. 찌르는 듯한 날카로운 통증으로 팔을 들어올리는 것이 힘들어진다. 일상생활이 제한되고, 밤에는 통증이 더 심해진다.



석회성건염은 X-ray나 초음파 검사로 진단한다. X-ray 사진을 찍으면 어깨 뼈 주변으로 하얀색 석회가 보인다. 초음파 검사에서는 힘줄에 생긴 석회의 크기나 모양을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다.


석회 크기가 커서 주변 힘줄을 압박하거나 손상을 유발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약물치료나 주사치료 같은 보존적 치료를 한다. 체외충격파를 통해 어깨에 자리잡은 석회를 부수는 방법도 도움이 된다.


보존적 치료에 차도가 없으면 수술을 한다. 석회성건염 수술은 어깨에 작은 구멍을 만들어 관절내시경과 수술 기구를 삽입한 후 석회결절을 제거하고, 손상된 힘줄을 치료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광명 연세훈정형외과 성창훈 대표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석회성건염이 있다는 것은 힘줄이 노화됐다는 것을 의미하는 데 이러면 회전근개파열이 잠복해있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무엇보다 어깨 통증이 지속되면 빨리 병원을 찾아 정확한 검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성공의 길을 찾아서더보기
 황준호의 융합건축더보기
 칼럼더보기
 심종대의 실천하는 행동 더보기
 건강칼럼더보기
 독자기고더보기
 기획연재더보기
 인터뷰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