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3] 러시아로 망명해 독립운동 전개...고구려 발해사 살리는 '국사(國史)' 발간한 '장도빈'
- [이승준 기자] 장도빈, 1888 ~1963, 독립장 (1990)'국가라는 것은 무엇을 말함인가 국민을 모아 이룬 것이오. 국정이란 것은 무엇을 말함인가 국민이 그 일 을 자...
- 2023-05-29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2] 발해농장 설립하고, 독립투쟁 기반 마련한 '안희제'
- [이승준 기자] 안희제, 1885 ~1943, 독립장 (1962)'지금 우리의 사회는 모든 일을 창조할 때이다. 계림팔도를 통하여 기성(旣成)의 인재를 찾는 것은 하늘에서 혜성...
- 2023-05-29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1] “만세 불러 독립 일깨우자” 3․1운동 주도한 '손병희'
- [이승준 기자] 손병희, 1861 ~1922, 대한민국장 (1962)"우리가 만세를 부른다고 당장 독립이 되는 것은 아니오. 그러나 겨레의 가슴에 독립정신을 일깨워 주어야 하...
- 2023-05-22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0] 대한민국 애국부인회 회장으로 활동한 '김마리아'
- [이승준 기자] 김마리아, 1892 ~1944, 독립장 (1962)김마리아 선생은 1892년 6월 18일 황해도에서 아버지 김윤방(金允邦)과 어머니 김몽은(金蒙恩) 사이의 세자매 가운...
- 2023-05-22
-
- [독립유공지를 찾아서 69] 중국 산서성 부곡에서 일본군과 교전 중 체포되어 고문으로 순국한 '이원대'
- [이승준 기자] 이원대, 1911 ~1943, 독립장 (1977), 중국의 광활한 대지 위에 조선의 젊은이 행진하네/발마춰 나가자 다 앞으로 지리한 어둔 밤 지나가고/빛나는 새...
- 2023-05-13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68] 김인전 “외교 독립운동은 성과가 없구나. 노동하는 군인 되어 무장하여 투쟁하자”
- [이승준 기자] 김인전, 1876 ~1923, 독립장 (1980)"자신의 이해에 따라 처신하지 말고 나라를 회복하는데 무엇을 할 것인가를 깨달아야 한다. 우리는 이제 눈을 떠야...
- 2023-05-13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67] 불교의 대중화 위해 대각사 창건한 '백용성'
- [이승준 기자] 백용성, 1864 ~1940, 대통령장 (1962)“아! 사랑은 끊어졌다. 인도(人道)는 멸망되었다. 온 인류는 지금 거짓의 탈을 쓰고 약탈의 창을 들었도다(&he...
- 2023-05-07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66] 치악산 강림 전투에서 순국한 '민긍호'
- [이승준 기자] 민긍호, (1865) ~1908, 대통령장 (1962)국권을 빼앗기고 국민이 도탄에 빠져있는 때에 내가 일본에 투항하면 일본 치하에서 지위가 높아지고 부귀가 8...
- 2023-05-07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65] 신언준 "정의와 진리의 시대는 반드시 올 것"
- [이승준 기자] 신언준, 1904 ~1938, 독립장 (1987) 정의와 진리의 시대는 반드시 올 것입니다. 정의와 진리는 공허한 개념인 듯하면서도 위대하고 확실한 실재이며, ...
- 2023-04-24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64] 청년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헌신과 희생 '송몽규.안창남.김필순'
- [이승준 기자] 송몽규, 안창남, 김필순 지사는 각각 인문학, 과학기술, 의학 분야에서 최고의 교육을 받은 당대의 지식인들이었다. 그러나 이들은 자신들이 습...
- 2023-04-24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63] 근대적이고 저항적인 민족시인 '한용운'
- [이승준 기자] 한용운, 1879 ~1944, 대한민국장 (1962)한용운 선생은 1879년 8월 29일 충남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에서 한응준(韓應俊)과 온양 방씨(溫陽方氏) 사이에서...
- 2023-03-24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62] 김창숙 “본적이 어디냐”는 일본 재판장에게 “나라가 없는데 본적(本籍)이 어디 있는가.”
- [이승준 기자] 김창숙, 1879 ~1962, 대한민국장 (1962)"나는 대한 사람으로 일본 법률을 부인한다. 일본 법률론자에게 변호를 위탁한다면 대의에 모순되는 일이다. ...
- 2023-03-13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61] 계파 넘어 임시정부 옹호하는 광복전선 성립시키고, 중경에서 광복군 창설한 '송병조'
- [이승준 기자] 송병조, 1877 ~1942, 독립장 (1963)조상들이 사랑하여 지켜오던 국가를 구적(仇敵) 일본에게 우리 자손들 때에 와서 빼앗기고 아픈 생활을 하다가 기...
- 2023-03-13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60] 민족대표 33인 중 1인 '박준승'
- [이승준 기자] 박준승 朴準承, 1866.11.24 ~1927.03.23. 전라북도 임실, 대통령장 1962“조선은 4천년 전에 건국하였으며 나도 날 때는 독립국 국민이었다. 그런데 일본...
- 2023-02-19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59] 일본 경찰대와 만주군 협공에 맞서 교전 중 관전현에서 순국한 ‘양기하’
- [이승준 기자] 양기하 梁基瑕, 1878.10.08 ~(1932.02). 충청남도 논산, 독립장 1963조선혁명의 최후 해결은 조선 노력대중(勞力大衆)의 모든 부대를 동원하여 일본 군...
- 2023-02-19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58] 잊혀진 혁명가 '정이형'
- [이승준 기자] 정이형 鄭伊衡, 1897.09.16 ~1956.12.10. 평안북도 의주, 독립장 1963비로소 인정풍속이 다른 만리 타국에 왔구나 하는 생각이 나서 장탄일호(長嘆一呼) ...
- 2023-02-16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57] 스티븐스를 처단한 '전명운'
- [이승준 기자] 전명운 田明雲, 1884.06.25 ~1947.11.18. 평안남도 평양, 대통령장 1962일본이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하여 러시아와 전쟁을 한다고 공언하더니 끝내 우...
- 2023-02-07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56] 국어학자 '정인승' 박사
- [이승준 기자] 정인승 鄭寅承, 1897.05.19 ~1986.07.07. 전라북도 장수, 독립장 1962일제의 문화말살정책에 대항하여 우리 고유 문화를 보호하는 방법으로 한글 연구를...
- 2023-02-01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55]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6대 국무령 '홍진'
- [이승준 기자] 홍진 洪震, 1877.08.27 ~1946.09.09. 충청북도 영동, 독립장 1962우리가 요구하는 바는 망령되게 공상을 꾀하여 오로지 타력(他力)에 의지하고자 하는 것...
- 2023-02-01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54] 친일 부호배 처단...군자금 모집 등 의열투쟁 전개 ‘박상진’
- [이승준 기자] 박상진 朴尙鎭, 1884.12.07 ~1921.08.11. 경상남도 울산, 독립장 1963오인(吾人)은 대한독립광복(大韓獨立光復)을 위하여 오인의 생명을 희생에 공(供)함...
- 2023-01-29
- 황준호의 융합건축더보기
-
-
- [황준호의 융합건축12] 융합의 건축, 휴먼 플랫폼을 만드는 건축가들
- # 건축가는 융합의 길을 간다!인간은 부모에게 생명을 받고 태어나서 평생을 살다고 생을 마감한다. 건축가는 건축을 만나 전공하면서 평생 건축의 길을 가면서 건축가로서 생을 마감한다.일반적으로 건축가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건축가(建築家)는 예술과 달리 법(法) 안에서 건물을 건축시, 계획을 세우고 설계하고 감독하는 사람이며, 건...
-
- [황준호의 융합건축11] 공간소비의 메타(META)스토리
- # 공간을 소비하는 맞춤형 시대가 지금여기우리 안에 있다!자본주의 공장의 수많은 제품들의 생성사 과정을 들여다 본다면 상당히 흥미로운 점들이 많을 것이다. 혁신을 추구하는 연구소와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프로세스 시스템는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수많은 가게들과 슈퍼 대형마트 그리고 온라인 및 TV 홈쇼핑, 라방 등등 에서 ...
-
- [황준호의 융합건축10] 포근한(cozy)공간의 틈새미학
- 정말 포근했던 적을 기억하는가, 우리는 ? 품, 틈, 털, 뭉게구름, 솜이불 그 이상의 가치들.....엄마의 품속처럼 포근한 곳이 또 어디 있을까, 과연 엄마의 품속이 거위털보다 더 포근할까 싶지만 또다른 무엇이 있기에 우리들은 주저없이 엄마의 품속을 그리워한다. 생명 탄생의 주역인 어머니의 품안이 우리 삶 속에서도 지속된다면 얼마나 ..
-
- [황준호의 융합건축9] 로컬(LOCAL)의 환경캔버스 장소성의 부활
- 한국의 로컬(현재성을 가진 지역의 뜻)이 소멸하고 있지만 소생할 희망은 무엇인가? 감사원은 앞으로 30년 이내에 229개 지역 중에서 소멸의 고위험군이 157개소나 된다고 한다. 그 위험의 핵심을 인구소멸을 통한 인구기반 공동체의 붕괴로 전망하였다. (참고, '저출산·고령화 대책 성과분석'과 '인구구조 변화 대...
- 독자기고더보기
-
-
- [독자기고] 장수군민들의 20년 숙원사업, 국도13호선 개선 이제는 이뤄야 할 때
- 장수군은 전라북도 14개 시.군 중 4차선 도로가 없는 교통취약지역이다. 무주, 진안, 함양, 남원을 잇는 중심에 있지만 교통인프라가 열악해 군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 것은 물론이고 경제·문화적인 부분에서도 많은 손해를 보고 있다.무엇보다 장수~천천을 잇는 국도 13호선은 선형불량 등으로 인해 크고 작은 교통사고가 빈번...
-
- [건강칼럼] 유튜브에서 알려준 척추 운동...잘못 따라 했다간
- 목과 허리를 합치면 우리나라의 디스크 환자는 300만명, 전체 국민의 1/10에 가까운 수치다. 병의 원인과 연령, 직업군도 다양하다. 허리를 많이 쓰는 생산직, 하루 종일 의자에 앉아서 일을 해야 하는 사무직, 작은 화면을 통해 인강을 보는 학생까지 디스크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이렇게 환자가 많다 보니 관련 정보도 많이 생성된다. 특히 .
-
- “플라스틱의 늪”
- 우리는 편리함을 이유로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있다.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파괴는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플라스틱 생산량은 날로 증가했고, 같은 기간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도 두 배 이상 큰 폭으로 늘었다. 문제는 낮은 재활용률이다.전 세계 플라스틱 폐기물의 재활용률은 단 9%에 불과하며 재활용되지 않은 폐플라스틱은 매립(50...
-
- [독자기고] 정부의 ‘23년 농산물 생산·유통합조직 추진방향
- 농촌 생산인구의 고령화, 노동력부족, 생산비증가 및 수익성감소 등으로 원예농산물 생산여건은 불안정해지고, 재배기술 및 재배시설의 혁신, 스마트기술의 활용, 소비시장 선호에 적합한 생산이 요구되고, 시장환경, 유통구조변화에 발빠른 대응을 통해, 생산농산물의 부가가치를 증대하고자, 정부에서는 농산물 생산·유통통합조...
- 기획연재더보기
-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3] 러시아로 망명해 독립운동 전개...고구려 발해사 살리는 '국사(國史)' 발간한 '장도빈'
- [이승준 기자] 장도빈, 1888 ~1963, 독립장 (1990)'국가라는 것은 무엇을 말함인가 국민을 모아 이룬 것이오. 국정이란 것은 무엇을 말함인가 국민이 그 일 을 자치(自治)하는 것이오. 애국이란 무엇을 말함인가 국민이 그 몸을 스스로 사랑하는 것이라. 고로 민권이 흥(興)하면 국권이 세워지고 민권이 멸(滅)하면 국권이 쓰러지니 윗사람이 ...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2] 발해농장 설립하고, 독립투쟁 기반 마련한 '안희제'
- [이승준 기자] 안희제, 1885 ~1943, 독립장 (1962)'지금 우리의 사회는 모든 일을 창조할 때이다. 계림팔도를 통하여 기성(旣成)의 인재를 찾는 것은 하늘에서 혜성을 찾는 것과도 같다. 이것은 마치 수명의 장공(匠工)을 갖고 수만간(數萬間)의 거택(巨宅)을 영조하려는 것과 무엇이 다를 것인가. 인재 양성의 필요는 어느 시대와 어느 사회인들...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1] “만세 불러 독립 일깨우자” 3․1운동 주도한 '손병희'
- [이승준 기자] 손병희, 1861 ~1922, 대한민국장 (1962)"우리가 만세를 부른다고 당장 독립이 되는 것은 아니오. 그러나 겨레의 가슴에 독립정신을 일깨워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꼭 만세를 불러야겠소"# “만세 불러 독립 일깨우자” 3․1운동 주도선생은 1861년 4월 8일 충북 청원(청주)에서 출생해 1882년 동학에 입문했다. 그리하여 ...
-
- [독립유공자를 찾아서 70] 대한민국 애국부인회 회장으로 활동한 '김마리아'
- [이승준 기자] 김마리아, 1892 ~1944, 독립장 (1962)김마리아 선생은 1892년 6월 18일 황해도에서 아버지 김윤방(金允邦)과 어머니 김몽은(金蒙恩) 사이의 세자매 가운데 막내로 태어났다. 본관은 광산(光山)이고, 마리아는 개신교의 세례명인데 독실한 개신교신자였던 아버지가 지어주신 것이다.선생의 집안은 서울의 명문양반가였으나 고조부 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