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민주 뒤늦게 ‘피해자’로 통일…통합 ‘스캔들’ 비대위원 활동 정지
  • 디지털 뉴스팀
  • 등록 2020-07-17 22:19:46

기사수정

[디지털 뉴스팀] 피해자 대신 ‘피해 호소인’이라고 해서 거센 비판을 받아온 민주당이 17일에서야 뒤늦게 앞으로는 ‘피해자’라는 말을 쓰겠다고 밝혔다. 또 스캔들이라는 부적절한 표현을 썼던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은 활동 정지 징계를 받았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15일 “‘피해 호소인’께서 겪으시는 고통에...”라고 말했고, 남인순 최고위원도 이날 “‘피해 호소인’이 현재 느끼고 있을 두려움과 당혹감에…”라고 했다. 

이러한 발언 ‘피해 호소인’이라는 표현에 대해 당 지도부 회의에서 공개적으로 비판이 제기됐다. 



김해영 최고위원은 “(피해자 측이) 고소 사실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면서, “지금부터는 ‘피해 호소인’이 아닌 ‘피해자’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고 밝혔다. 


고인 추모와 피해자 보호라는 두 가지 사안을 놓고 경중을 제대로 살피지 못했다는 반성도 이어졌다.


비공개 회의에서는 피해 호소인이라는 말에 국민들 거부감이 크다는 보고가 있었고, 결국 민주당은 ‘피해자’라는 표현을 쓰기로 입장을 바꿨다.


‘아직은 주장일 뿐 피해 사실이 입증되지 않았다’로 읽힐 수 있는 피해 호소인이라는 말을 17일에서야 거둬들인 것이다. 


통합당도 서둘러 수습에 나섰다.



정원석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은 16일 “박원순 성추행, 서울시 ○○스캔들 은폐 의혹”이라고 했다. 


‘스캔들’이라는 말은 2차 가해라는 비판이 쏟아지자 정원석 비대위원에게 활동 정지 2개월 징계를 내렸다.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생각 없이 그런 얘기를 했기 때문에 사전 경고하는 의미에서 그런 조치를 취한 것”이라고 했다. 


피해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보다 상처를 헤집는 언행이 이어지는 정치권의 현실, 피해자 중심주의를 지켜가겠다고 하고 있으나, 여전히 말뿐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천년 역사향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