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작구 둘러보기 35] 철도시발지 ‘노량진역’
- [박광준 기자] 노량진역의 정식명칭은 서울지방철도청 노량진역이다. 현 역사는 1971년 5월 15일 설립됐다. 건물면적1,143m3에 2층 콘크리트건물, 4개홈, 7개 선로, ...
- 2023-04-23
-
- [동작구 둘러보기 34] 한강변 아름다운 마을 ‘흑석동’
- 옛 흑석진[박광준 기자] 흑석동의 동명은 흑석 제1주민센터 남쪽 일대에서 나오는 돌의 빛이 검은색을 띠므로 ‘검은돌’ 마을이라 한 데서 유래했다.흑...
- 2023-01-23
-
- [동작구 둘러보기 33] 종2품 이상의 관원이 있는 무덤이 있는 근처 큰길에 세우던 석비 '신도비'
- [박광준 기자] 신도비는 옛날 종2품 이상의 관원이 있는 무덤이 있는 근처 큰길에 세우던 석비로, 이 석비는 그 비문의 내용이 알려주는 역사적 사료로서의 금...
- 2023-01-23
-
- [동작구 둘러보기 32] ‘동재기나루터’라 부른 데서 명명된 ‘동작동’
- 동작동 전경 [박광준 기자] 동작구 동명에 대한 유래는 조선시대에 이곳이 용산에서 수원으로 통하는 도진의 하나였던 동작진 근처 동작진 근처 이남지역을 ...
- 2023-01-15
-
- [동작구 둘러보기 31] 옛날 큰 사당이 있었던 전해지는 마을 ‘사당동’
- 국내 유일 루프탑 복합문화공간 '아트나인&잇나인'에서 바라본 사당동 전경 [박광준 기자] 사당동 동명의 유래는 옛날 큰 사당이 있었던 마을이라 해 붙...
- 2023-01-15
-
- [동작구 둘러보기 30] 사육신묘 입산 동산에 있었던 ‘사충서원’
- [박광준 기자] 사충서원은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조선후기 김창집 등 4인의 선현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으로, 1725년(영조 1) 노론 4대신인 김창집(金昌集)...
- 2023-01-13
-
- [동작구 둘러보기 29] 박태보를 배향하던 ‘노강서원’
- 노강서원/사진출처-문화재청[박광준 기자] 동작구 본동 286-1(사육신묘 서쪽 기슭)의 가칠목 마을에 있었던 서원으로 숙종 15년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죽은 정...
- 2023-01-13
-
- [동작구 둘러보기 28] 태고종 사찰 '극락정사'
- [박광준 기자] 서울 동작구 본동 473번지에 있는 태고종의 사찰이다. 3.1운동이 일어났던 1919년에 양나은 대사가 신작로변(일명 절고개)에 관악산 연주암의 포교...
- 2023-01-01
-
- [동작구 둘러보기 27] 영험설화가 전해지는 '미륵암'
- [박광준 기자] 동작구 상도 1동 103-2에 있는 한국불교태고종 소속의 사찰로, 본래 사찰의 사적이 남아 그 창건연대는 알 수 없고, 미륵불의 조성연대 또한 확실...
- 2023-01-01
-
- [동작구 둘러보기 26] 사자의 위엄으로 백호를 막은 ‘사자암’
- [박광준 기자] 동작구 상도 3동 280번지 삼성산 국사봉 밑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사찰이다. 조선 태조 5년(1396) 무학대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삼성산이...
- 2023-01-01
-
- [동작구 둘러보기 25] 선조의 조모인 창빈안씨신도비 부 묘소
- [박광준 기자]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무덤을 능, 왕의 생모나 왕세자.세자빈.왕세손의 무덤은 원, 대군이나 군.공주.옹주 및 빈.귀인.숙의 등 후궁의 무덤을 묘...
- 2022-12-29
-
- [동작구 둘러보기 24] 양녕대군의 사당과 묘소 ‘지덕사’
- [박광준 기자] 동작구 상도동 65-42의 국사봉 북쪽에 있는 조선 태종의 장자이자 세종의 맏형인 양녕대군(1394-1462)의 사당과 묘소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1...
- 2022-12-28
-
- [동작구 둘러보기 23] 근현대사를 살아오면서 함께 만들어온 공통의 기억.감성으로 미래세대에 전할 유산들 '미래유산'
- [박광준 기자] 미래유산은 문화재로 등록되지 않은 서울의 근현대 문화유산 중에서 미래세대에 전달할 만한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모든 것으로, 서울 사람들...
- 2022-12-26
-
- [동작구 둘러보기 22] 상여꾼 집단 ‘상투골’에서 유래된 ‘상도동’
- 지금은 쉽게 볼 수 없는 상여꾼 모습/사진출처-한국학중앙연구원 [박광준 기자] 상도동의 동명은 전일에 이곳에 상여꾼이 집단으로 거주해 ‘상투골’...
- 2022-12-25
-
- [동작구 둘러보기 21] 대방동 접경의 새로 생긴 마을 ‘신대방동’
- 보라매공원 둘레길 코스 5분만에 둘러보기/영상출처-동작구[박광준 기자] 신대방동 동명의 유래는 대방동 접경의 새로 생긴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보라...
- 2022-12-24
-
-
- [동작구 둘러보기 35] 철도시발지 ‘노량진역’
- [박광준 기자] 노량진역의 정식명칭은 서울지방철도청 노량진역이다. 현 역사는 1971년 5월 15일 설립됐다. 건물면적1,143m3에 2층 콘크리트건물, 4개홈, 7개 선로, 광장, 화물하치장 등의 시설물이 있다. 노량진역은 우리나라 철도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우리나라에 철도가 부설되기까지는 곡절이 많았다. 철도문제가 ...
-
- [동작구 둘러보기 34] 한강변 아름다운 마을 ‘흑석동’
- [박광준 기자] 흑석동의 동명은 흑석 제1주민센터 남쪽 일대에서 나오는 돌의 빛이 검은색을 띠므로 ‘검은돌’ 마을이라 한 데서 유래했다.흑석동의 연혁을 살펴보면, 조선말까지는 경기도 과천군 하북면 흑석리에 속했던 곳이었는데, 1914년 3월 1일 일제가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의해 자의(資意)로 행정구역을 새로 조성하면...
-
- [동작구 둘러보기 33] 종2품 이상의 관원이 있는 무덤이 있는 근처 큰길에 세우던 석비 '신도비'
- [박광준 기자] 신도비는 옛날 종2품 이상의 관원이 있는 무덤이 있는 근처 큰길에 세우던 석비로, 이 석비는 그 비문의 내용이 알려주는 역사적 사료로서의 금석문의 가치나 서체가 보여주는 서예사적 가치, 그리고 석비 양식의 변천을 통해 미술사적 가치를 함께 보여주고 있어 주목돼 왔다. 석비의 기본형을 살펴보면, 방형의 대석 위에 네 ...
-
- [동작구 둘러보기 32] ‘동재기나루터’라 부른 데서 명명된 ‘동작동’
- [박광준 기자] 동작구 동명에 대한 유래는 조선시대에 이곳이 용산에서 수원으로 통하는 도진의 하나였던 동작진 근처 동작진 근처 이남지역을 연결하는 나루로서 그 이름을 '동재기나루터'라 부른 데서 동작동으로 명명됐다. 본지에서는 동작동의 연혁과 동작동의 행정동 변천관계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 동작동의 자연...
-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54] 극단 봉, 정의순 연출 '산포면 내기리'
- 씨어터 쿰에서 극단 봉의 봉삘 원작 안민호 각색 정의순 연출의 산포면 내기리를 관람했다.봉삘은 본명이 박주한인 작가 겸 기획자다. 극단 대표를 역임하고 또한, 2022년 거창국제연극제에서 극단 파란만장의 ‘산포면 내기리’가 금상을 수상했다,각색을 한 안민호는 * 서울 예대 출신으로, 희랍극 “안티고네를 번안 ...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53] 극단 마당-극단 원, 김학재 연출 '어느날 갑자기'
- 대학로 소극장 공간아울에서 극단 마당과 극단 원의 장민애 작 김학재 연출의 어느날 갑자기를 관극했다.김학재는 배우이자 연출가다. 극단 대표를 맡고 있다. 김학재의 1인 9역의 모노드라마 토커는 노년의연극배우가아내를 잃고, 아내의 소망이었던 봉사활동에 나서며 만나는 사람들의 대화로 구성한 작품으로 성직자를 사랑한 여인, 영..
-
- [박정기의 공연산책 252] 극단 춘추, 연극 레퍼토리 페스티발 송훈상 연출 '배우시장'
- 스튜디오 블루에서 극단 춘추와 극단 RM의 심홍철 작, 송훈상 연출의 을 관람했다.작품을 쓴 심홍철은 서울예대 84학번으로 독특하게 건설기계관련사업을 하고 있다. 현재 건설기계협동조합 이사장, 월간중기인 발행인, 케이디이큅먼트 주식회사 대표다. 발표 공연했다.송훈상은 서울예술대학교 연극과 출신으로 현 극단 성좌 상임연출...
- 테마가 있는 여행더보기
-
-
- [윤여금의 여행이야기 15] 봉수산 봉우리를 둘러싼 백제의 ‘임존성’
- [윤여금 기자] 충남 예산 임존성은 백제 때 수도 경비의 외곽기지 역할을 한 성으로, 봉수산을 에워싼 둘레 2468.6m의 뫼테식 산성으로 백제가 고구려의 침입에 대비해 쌓은 것으로 짐작된다. 현재는 성벽의 바깥쪽은 돌을 다듬어 쌓았고, 안쪽은 흙을 파서 만들어 놓았다. 성내는 성문 밑으로 개울물이 흐르게 하던 수구문, 우물터, 건물터, 치 ...
-
- 남해 금산 단군성전
- [박광준 기자] 남해 금산 단군성전은 온전한 진리되어짐인 한얼의 기운으로 대각의 근본을 크게 알리기 위해 우리 인간의 각을 마다하지 않고, 일심일신일체해 크나큰 은혜로움으로 나타내 온 한인상천황(韓因上天皇), 한웅천황(韓雄天皇), 단군한배검(檀君韓倍檢)을 모신곳이다. 또한 한인상천황의 조화경전인 천부경과 한웅천황의 교...
-
- 보성서 태어나 갑신정변때 멸문지화한 서재필
- [박광준 기자] 서재필 선생은 1864년 1월 7일 전라도 보성군 문전면 가천리(현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용암리 가내마을)에 있던 외가 성주 이씨 집안에서 동복 현감 아버지 서광효(徐光孝, 1830. 8. 22 ~ 1884. 11. 2)와 어머니 성주 이씨 이조이(李召史, 1830 ~ 1885. 1. 12) 사이의 4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출생 이후 아버지 서광효의 6촌 형제인 서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