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삼성전자 매출 77조 2천억 원, 역대 두 번째...반도체.환율 효과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2-07-28 15:25:07

기사수정


[이승준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에 매출 77조 원대, 영업이익 14조 원대의 실적을 기록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중국 주요 도시 봉쇄, 인플레이션 및 공급망 불안 등 여러 대외 악재에도 반도체 부문 호조와 환율효과 등에 힘입어 비교적 선방한 실적을 올린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하반기에는 각국의 금리인상 등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진데다 IT 수요 부진으로 메모리 반도체 수요 역시 둔화할 것으로 전망돼 실적 전망이 밝지 않은 편이다.


삼성전자는 28일 2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77조 2천억 원, 영업이익 14조1천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2분기 대비 매출은 21.25%, 영업이익은 12.18% 각각 증가했다.


매출의 경우 역대 최고치였던 올해 1분기(77조 7천800억 원)보다는 줄었으나, 역대 두 번째며 2분기 기준으로는 가장 많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3개 분기 연속 갈아치우던 사상 최고 매출 기록 행진을 멈추게 됐다.


영업이익은 2분기 기준 역대 3번째이다.


이번 실적은 삼성전자가 이달 7일 발표한 잠정 실적(매출 77조 원, 영업이익 14조 원)을 소폭 웃도는 수준이다.


삼성전자가 악재 속에서도 선방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반도체 부문 선방과 환율 효과 등이 꼽힌다.


부문별로 보면 DS(반도체) 부문은 2분기 매출 28조 5천억 원, 영업이익 9조 9천800억 원을 기록했다.


삼성전자 전체 영업이익의 70%가 반도체 부문에서 나온 것이다.


삼성전자는 "DS 부문은 견조한 서버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시스템 반도체 공급을 확대해 지난 분기에 이어 최대 분기 매출을 경신하며 성장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DX(모바일.가전) 부문은 2분기 매출 44조 4천600억 원, 영업이익 3조 200억 원의 실적을 올렸다.


갤럭시 S22 등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와 에어컨 등 계절 가전 판매 호조로 매출은 지난해 2분기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다만 영업이익은 재료비와 물류비 증가, 부정적인 환영향 등으로 감소했다.


SDC(디스플레이)는 매출 7조 7천100억 원, 영업이익 1조 600억 원을 기록했다.


중소형 패널은 스마트폰 비수기에도 플래그십 모델 수요가 지속돼 2분기 기준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올렸으나, 대형 패널은 QD(퀀텀닷) 디스플레이 초기 비용과 LCD 판가 하락으로 실적이 둔화했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원/달러 환율 상승 영향도 실적 호조를 이끈 요인 중 하나다.


삼성전자는 달러화의 큰 폭 강세로 부품 사업 중심으로 전 분기 대비 약 1조 3천억 원 수준으로 영업이익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고 분석했다.


2분기 시설 투자는 12조 3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사업별로는 DS 부문이 10조 9천억 원, SDC가 8천억 원 수준이다.


상반기 누계로는 20조3천억 원(DS 17조 6천억 원, SDC 1조 5천억 원)이 집행됐다.


메모리는 경기도 평택 3기 인프라 투자와 화성, 평택, 중국 시안 공장 증설과 공정 전환을 중심으로 투자가 집행됐고 파운드리는 5나노 이하 첨단공정 생산능력 확대를 중심으로 투자가 이뤄졌다.


삼성전자는 올 하반기에 거시경제를 중심으로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수요 상황에 대한 적극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방침이다.


DS 부문은 고부가.고용량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운영하고, 첨단공정과 신규 응용처 확대에 주력할 계획이다.


DX 부문은 프리미엄 라인업을 강화하고, 전 세계 2억 3천만 명 규모의 '스마트 싱스' 사용자 기반 멀티 디바이스 경험 확대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경제일반더보기
 기업·산업더보기
 금융더보기
 부동산더보기
 뷰티더보기
 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