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반도체 시장 선행지표’ D램 현물가 반등...한달새 3∼4% 올라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3-10-08 21:23:34

기사수정

사진 출처 : SK하이닉스 제공[우성훈 기자] 반도체 시장 선행지표로 해석되는 메모리 D램 현물 가격이 한동안 이어진 하락세를 멈추고 조금씩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메모리 공급사들의 감산 효과가 가시화하면서 올해 4분기에는 가격이 본격적으로 상승세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의 자료를 보면 D램 범용 제품인 ‘DDR4 8기가비트(Gb) 2666’의 현물 가격은 지난 6일 기준 1.518달러를 기록했다.


지난달 4일 기록한 연중 최저가 1.448달러와 비교하면 한 달여 만에 4.83% 상승한 수준이다.


해당 D램 제품 가격은 지난해 말 2.004달러에서 올해 들어서만 30% 가까이 내렸다가 9월 초부터 오르기 시작했다.


용량이 더 큰 ‘DDR 16Gb 2666’ 제품 가격도 지난달 8일 연중 최저가인 2.715달러에서 지난 6일 2.80달러로 3.13% 올랐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인한 IT 기기 수요 부진 등의 여파로 D램 현물 가격은 지난해 2월 이후 줄곧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나 공급 업체의 감산 효과와 재고 소진 등이 맞물리면서 가격은 9월 초를 기점으로 반등하는 추세이다.


D램 현물 가격은 대리점을 통해 일시적으로 이뤄지는 거래 가격으로 통상 4∼6개월 뒤 기업 간 거래 가격인 고정 거래 가격에 수렴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시장 선행 지표로 통한다.


일일 가격 등락으로 향후 가격 추세를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시장의 매매심리를 즉각 반영한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


최근에는 D램 현물 가격뿐 아니라 고정 거래 가격도 하락세를 멈췄다.


D램익스체인지가 집계한 ‘DDR4 8Gb’ 제품의 9월 평균 고정 거래 가격은 전달과 같은 1.30달러로 나타났다. 지난 4월부터 5개월 연속 이어진 내림세가 일단락됐다.


업계는 반도체 공급사들의 감산 효과가 본격화하고 재고 조정도 일단락되면서 4분기에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반등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경제일반더보기
 기업·산업더보기
 금융더보기
 부동산더보기
 뷰티더보기
 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