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 총리 "의대 정원, 30년 전보다 적어...국민들 증원 압도적 지지"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4-02-22 22:38:05

기사수정

답변하는 한덕수 총리[박광준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는 22일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관련해 "현재 의대 정원은 30년 전인 1994년보다도 적다"면서, "국민 여론은 (의대 증원을) 압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국회 대정부질문에 출석해 의대 정원 문제에 대한 국민의힘 김병욱 의원의 질문에 "환자가 늘어나는데 의대 정원은 그대로"라면서, "2000년에 입원 환자는 320만명이었는데, 지난해에는 920만명으로 늘었고, 앞으로 증가 속도가 더 빨라질 전망"이라고 답했다.


한 총리는 이어 "하지만 1998년 이후 27년째 의대 정원은 단 한명도 늘리지 못했다. 오히려 2006년 351명을 줄인 뒤 19년간 동결된 상태"라면서, "무리한 증원이 아니고, 경증.중증 등 모든 환자를 제대로 돌보고 의사들의 탈진 환경 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제도적 개혁"이라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의대 증원에 반발한 의사들의 집단행동에 대해서는 "정말로 안 된다"면서, "공공의료 비상 체계를 가동해 총력전으로 대처하고 있으나 벌써 수술 일정이 조정되는 등 굉장히 어려움을 겪고 있어 가슴이 아프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대 정원 확대를 포함한 의료 개혁 절체절명 과제에 온 국민이 압도적 지지를 하고 있다"면서, "의사 집단행동이 국민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어 정부는 의료법에 의해 조속히 복귀하도록 하는 업무개시명령을 내리고 있다. 복귀를 간곡히 요청한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의대 정원을 지금보다 2천명 늘리면 교육의 질이 저하될 것이라는 의사단체의 주장에는 "전혀 그렇지 않다"면서, "한 대학당 50명이 늘어나는 셈인데 이 수치에 대해 대학, 전문가와 함께 검토했고 대학들이 교육의 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수가 인상, 전공의 업무 부담 개선, 의료사고 사법 부담 완화 등 의료계를 위한 내용도 의대 증원과 함께 개혁 패키지에 포함돼 있다"면서, "이런 것이 다 같이 되면 미래 선진 의료 국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의대 증원 추진과 관련해 정부가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요구로 국민적 관심.타협을 이끌기 위한 정치쇼를 벌인다고 했다'는 윤 의원의 질문에는 "정치쇼가 절대로 아니다. 어떻게 국민 생명을 담보로 (쇼를) 하는가"라고 답했다.


이어 "만약 의대 정원이 협상에 의해 이뤄져 왔다면 잘못이다. 국가의 현재와 미래를 보며 국민의 건강.안전을 어떻게 보장할지를 과학과 진실에 기초해 논의해야 한다"며 "협상할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또 "대한의사협의와 28회 내내 얘기하는 등 의료계와 계속 협의한 내용"이라면서, "사실 대학 정원에 대해 의료계가 비토(거부)권을 갖고 있는지 모르겠다. 의료계 의견은 충분히 들어야 하지만 결국 국민과 국가 차원에서 제시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총리는 지역 의대 신설 계획에 대해서는 "지금 의대 증원을 해도 너무 늦어서 기존 대학 중심으로 증원될 것이고, 적어도 5년에 한 번씩은 제대로 가고 있는지 평가.점검이 필요하다"면서, "그런 과정에서 새로운 의대 신설이 필요한지 검토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언급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