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독도 강치 멸종시켰던 일본..."다케시마의 날에 강치로 홍보"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4-02-23 17:59:41

기사수정

독도 강치를 활용해 홍보하는 일본 시마네현청 '다케시마 자료실'/사진=서경덕 교수 SNS 캡처[박광준 기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22일 일본 시마네 현이 독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해 일방적으로 정한 '다케시마의 날'(2월 22일)을 맞아 일본 측이 독도 강치를 활용한 홍보를 더 강화했다고 밝혔다.


서 교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시마네현은 2006년부터 '다케시마의 날' 행사를 하고 있다"면서, "독도에 관해 어떤 부분을 왜곡하는지 조사하고 대응하기 위해 최근 시마네현청 2층 '다케시마 자료실'을 다녀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지난 몇 년간 방문하지 못했다"면서, "독도 강치를 활용한 홍보가 더 강화된 분위기였다"고 덧붙였다.


바다사자의 일종인 강치는 과거 독도에 최대 수만 마리가 무리를 지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는 1905년 독도를 자국 영토에 편입한 뒤 강치잡이 전담 회사를 만들어 잔인하게 포획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 시마네현청 '다케시마 자료실

서 교수는 "일본은 예전부터 강치 캐릭터를 활용한 전시 패널을 주로 활용해 왔다"면서, "이제는 강치 스티커, 강치 인형, 강치 종이접기 등을 활용해 '다케시마의 날' 및 자료실을 널리 알리는 모양새였다"고 설명했다.


또 "가죽과 기름을 얻고자 일본이 불법적으로 독도 강치를 포획해 멸종시킨 역사적 사실은 전혀 인정하지 않고, 이렇게 캐릭터로 부활시켜 왜곡된 교육을 강화하고 있었다"고 비판했다.


서 교수는 "전시실에 들어가자마자 눈에 확 띄는 큰 미역 그림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미역 채취 부분도 지적했다.


그는 '독도 주변 미역은 3미터나 되는 큰 것이 잡혔다.


오키섬 주변에서도 미역은 많이 잡혔지만 길어야 1미터'라는 설명을 소개하며 "이 역시 불법 채취였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 교수는 "지난해 독도 강치의 역사에 관한 다국어(한국어.영어) 영상을 제작해 국내외로 홍보 중"이라면서, "일본어 버전을 추가해 시마네현청 자료실의 왜곡을 일본인들에게 널리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