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경협 "경제고통지수,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완화"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4-05-17 13:01:49

기사수정


[이승준 기자] 우리나라 국민이 실업과 물가 상승 등 경제 여건에 따라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가 코로나19 이전으로 완화됐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체감실업률과 체감물가상승률을 활용해 국민(15∼69세)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뜻하는 체감경제고통지수를 산출한 결과, 지난해 12.5를 기록해 2022년(15.8) 대비 3.3포인트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는 코로나19 이전 시기인 2018년(12.9), 2019년(12.0)과 유사한 수치이다.


한경협은 체감경제고통지수 개선 이유로 체감실업률 하락을 꼽았다.


체감실업률이란 공식 실업자 통계로는 잡히지 않는 시간제 근로자, 취업준비생, 구직단념자 등을 실업자로 간주해 계산한 실업률이다.


체감실업률은 2018년 11.4%에서 2020년 13.6%로 상승해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에는 9.0%로 떨어져 코로나19 이전 수준에 비해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체감물가상승률은 2022년 5.2%까지 급등한 후 지난해 3.5%로 하락했지만, 2018∼2020년 상승률(0∼1%대)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다만 체감실업률 하락에도 일자리 질은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주 36시간 이상 근로자는 2,051만 1,000명으로, 5년 전인 2018년 2,066만 6,000명보다 0.8% 감소했다.


반면 주 36시간 미만 근로자는 지난해 605만 6,000명으로 22.7% 증가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경제일반더보기
 기업·산업더보기
 금융더보기
 부동산더보기
 뷰티더보기
 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