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숭실대 숭실평화통일연구원,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 2단계 진입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4-06-07 20:59:17

기사수정

숭실대학교 창의관/사진=숭실대[박광준 기자] 숭실대학교(총장 장범식) 숭실평화통일연구원은 지난 2021년 9월부터 올해 5월까지 수행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 1단계의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6월부터 시작되는 2단계 진입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은 대학부설연구소와 국내연구기관의 특성화.전문화를 통해 연구거점을 육성하고, 인문사회 분야의 연구역량 강화와 우수 학술연구 성과 창출을 목적으로 한국연구재단이 시행하는 사업이다. 사업기간은 총 6년으로, 1단계 3년간의 성과를 평가해 2단계 사업 선정 여부가 결정된다. 


숭실평화통일연구원은 지난 2021년 9월 해당 사업에 선정돼 북한도시연구단(단장 김성배)을 발족하고 평양시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시장이 이끄는 북한도시 변화와 도시민의 삶 연구’를 주제로 평양시의 공간변화와 주민들의 삶을 분석했고, 연구결과를 집약한 저서 ‘두 이념의 각축장, 평양(숭실대학교 출판부’)을 발간했다. 


1단계 연구 기간에 연구단 소속 권진아 박사가 ‘2023년 교육부 학술연구지원사업 우수성과 50선’에 선정돼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을 수상했고, AI를 활용해 평양의 공간변화를 분석한 이시효 박사의 연구가 BBC Korea에 보도되기도 했다.


지원사업 2단계 진입으로 숭실평화통일연구원은 향후 3년간 약 10억 6천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2단계 연구는 북한의 라선, 신의주, 남포, 청진, 혜산 지역에 초점을 맞출 예정으로, 해당 도시들의 공간변화 및 주민 일상 분석과 북한 도시의 지속 가능한 거버넌스 체계 모색을 목표로 한다.


연구에서는 위성자료, GIS, 빅데이터 자료(딥러닝 분석) 등을 통해 도시공간에 대한 양적분석을 진행하고, 현상학, 사례분석, 지리적 문화기술지를 활용해 도시민의 일상과 삶을 관찰할 계획이다. 비교제도 분석법과 제도적 상호보완성을 적용한 거버넌스 체계 분석 또한 수행된다.


한편, 숭실평화통일연구원은 2014년 개원 이래 ▲한반도의 평화와 화해, 통일에 기여하기 위한 정책연구 수행 ▲남북의 상호 화해 협력을 위한 교육 및 문화교류·경제협력 ▲평양 숭실 복원의 저변확대 ▲인문사회분야 연구역량 강화 등을 목표로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