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의 전통사찰 148] 호압사(1)의 전설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4-06-07 23:30:10
  • 수정 2024-06-08 07:11:56

기사수정

호압사 안내 표지석 [박광준 기자] 호압사가 창건된 데에는 두 가지의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먼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금천조에는 지금의 시흥군의 현감을 지냈다고 하는 윤자(尹滋)의 이야기가 전한다. 이 기록에 의하면 "금천의 동쪽에 있는 산의 우뚝한 형세가 범이 걸어가는 것과 같고, 그런 중에 험하고 위태한 바위가 있는 까닭에 범바위(虎巖)라 부른다. 술사가 이를 보고 바위 북쪽에다 절을 세워 호갑(虎岬)이라 하였다....."라고 있다.


또 다른 전설로는 1394년(태조 3)을 전후해 조선의 도읍을 서울로 정하고 궁궐을 짓는 과정에서 일어난 이야기로, 즉 태조가 서울에 궁궐을 세울 때 전국의 장인을 모아 진행했다. 여러 차례에 걸쳐 밤만 되면 무너져버려 노심초사했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어둠 속에서 괴물이 나타났는데 반은 호랑이고, 반은 형체조차 알 수 없는 이상한 동물이었다. 이 괴물은 눈으로 불길을 내뿜으면서 건물을 들이받으려고 했다. 이때 태조가 괴물에게 화살을 쏘라고 했고, 화살은 빗발처럼 쏟아졌으나 괴물은 아랑곳없이 궁궐을 무너뜨리고 사라졌다.


과거의 약사전

태조가 침통한 마음으로 침실에 들었을 때 한 노인이 나타나 "한양은 비할 데 없이 좋은 도읍지로다"라면서 멀리 보이는 한강 남쪽의 한 산봉우리를 가리켰다. 태조는 노인이 가리키는 곳을 보니 호랑이 머리를 한 산봉우리가 한양을 굽어보고 있는 것이었다. 그래서 노인에게 호랑이 모습을 한 산봉우리의 기운을 누를 방도를 가르쳐 달라고 했다.


노인은 "호랑이란 꼬리를 밟히면 꼼짝 못하는 짐승이니 저처럼 호랑이 형상을 한 산봉우리의 꼬리부분에 절을 지으면 만사가 순조로울 것입니다."하고는 홀연히 사라져 버렸다. 그 다음날부터 이곳에 절을 짓고 호압사(虎壓寺)라고 명했다고 한다.


위의 두 설화는 공통적으로 풍수지리설과 비보사찰설이 가미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산의 모양을 호랑이로 본 것이고, 이를 누르기 위해 절을 창건했다는 이야기이다.


과거의 요사체

호압사의 창건기록으로는 호압사의 본사였던 봉은사에서 엮은 '봉은사 말사지'에서 볼 수 있다. 1407년인 조선태종7년에 창건했다고 하며 또한 태종임금이 호압이란 현액을 하사했다는 기록이있으나, 1394년(태조 3)에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이라는 관청을 두고 궁궐을 짓는 공사를 시작했고, 다음 해에 궁궐이 완성됐기 때문에 호압사는 '봉은본말지(奉恩本末誌)'의 기록보다는 태조 2년이나 3년 무렵에 창건됐을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호압사의 역사는 이후 알려지지 않고 있다. 18세기에 전국 사찰의 위치와 연혁 등을 기록한 범우고(梵宇攷)나 가람고(伽藍攷)에도 호암사(虎巖寺) 또는 호갑사(虎岬寺)라 해 간략하게 나올 뿐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


현재의 약사전 그러다가 호압사는 1841년(헌종 7)에 이르러 중창이 됐던 것으로 보인다. 같은 해 의민(義旻) 스님 쓴 '경기좌도시흥삼성산호압사법당현판문(京畿左道始興三聖山虎壓寺法堂懸板文)'에 의하면 이 해에 당우가 퇴락한 것을 당시 상궁 남씨(南氏)와 유씨(兪氏)의 도움을 받아 법당을 고쳐졌다는 것이다.


고려 말.조선 전기의 스님으로 속성은 박씨(朴氏), 호는 무학(無學).계월헌(溪月軒)이다. 삼기(지금의 합천) 출생으로 18세에 소지선사(小止禪師)의 제자로 승려가 되어 구족계를 받고, 혜명국사(慧明國師)에게서 불법을 배웠다. 진주(鎭州) 길상사(吉祥寺).묘향산 금강굴(金剛窟) 등에서 수도하다가, 1353년(공민왕 2) 원(元)나라 연경(燕京)에 유학해 그때 원에 와 있던 혜근(惠勤)과 지공(指空)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보호수1356년 귀국해 1373년에 왕사(王師)가 된 혜근의 법을 이어받았는데, 1376년 혜근이 회암사(檜巖寺)에서 낙성회(落成會)를 연 때 수좌(首座)로 초청했으나 사양했다. 1392년 조선 개국 후 왕사가 되어, 대조계종사(大曹溪宗師).선교도총섭(禪敎都摠攝).전불심인변지무애부종수교홍리보제도대선사(傳佛心印辯智無碍扶宗樹敎弘利普濟都大禪師).묘엄존자(妙嚴尊者)의 호를 받고 회암사에서 지냈다.


다음 해 태조를 따라 계룡산과 한양(漢陽)을 오가면서 지상(地相)을 보고 도읍을 한양으로 옮기는 데 찬성했다. 1397년(태조 6) 왕명으로 회암사 북쪽에 수탑(壽塔)을 세우고, 1402년(태종 2) 회암사 감주(監主)가 되었다가 이듬해 사직하고, 금강산 금장암(金藏庵)에 머물다가 입적했다.


저서에 '불조종파지도(佛祖宗派之圖)' '인공음(印空吟)'이 있다./사진-박광준 기자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