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초등 저학년.특수학교 등교 확대...과밀학급에 교사 2천 명 배치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1-01-26 14:43:31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돼 올해 신학기에도 학생들은 대면과 비대면 수업을 병행하지만, 초등학교 저학년과 특수학교·학급 학생 위주로 등교 수업이 확대될 전망이다.
   
학생 수 30명 이상인 학급에는 학생들의 기초학력 향상 등을 위해 기간제 교사 약 2천 명이 지원된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함께 성장하는 포용 사회, 내일을 열어가는 미래 교육'이라는 주제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1년 업무보고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신학기 학사 운영과 관련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학교 밀집도 원칙을 유지하면서 유아, 초등학교 저학년, 특수학교.학급을 우선으로 이전보다 더 자주 등교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등교 확대를 위해 우선 등교 대상 위주로 과밀학급 해소 등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전국 초등학교 1∼3학년 가운데 30명 이상 학급에 기간제 교사 약 2천 명을 배치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원받은 인력으로) 학교는 학급을 증설해 과밀학급을 분반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학급 증설이 어려운 경우 공동 수업을 할 수 있는 기초학력 협력 교사로 배치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기초학력 지원을 위해 교육부는 3월 중에 '국가기초학력지원센터'를 신설하고 관련법 제정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개별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활용 학습 시스템 도입도 지난해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과목에서 올해부터 초등학교 1∼4학년 수학 과목과 초등 3∼6학년 국어.영어 과목으로 점차 확대한다.
   
돌봄 서비스 확대 차원에서는 지방자치단체-학교의 협력 돌봄 사업인 '학교돌봄터 사업'의 9월 도입, 초등 돌봄교실.마을 돌봄 기관 확충 등을 통해 초등학생 총 45만9천 명에게 돌봄을 제공한다.
   
교육부는 원격 수업 기간 학생·교사의 소통을 강화키 위해 실시간 수업, 조.종례 등 다양한 형태의 쌍방향 소통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지원키 위해 다음 달 'e학습터'와 EBS 온라인클래스'에 화상수업 서비스를 전면 개통한다.
   
원격수업 관련 규제를 혁신키 위해 '원격교육 기본법' 제정도 추진한다.
   
아울러 올해 1학기부터 중.고교 모든 교과목에 대해 동영상 수행평가를 허용하고, 대학의 경우 20%로 제한됐던 원격수업 비율 상한을 폐지한다.
   
원격수업 인프라 확충을 위해서는 상반기 내 전국 25만2천개 교실에 기가급 무선망을 구축한다.
   
교육부는 노후학교 건물을 개선해 첨단학교로 바꾸는 '그린 스마트스쿨' 사업에 올해 본격적으로 착수해 1차 대상학교 761동을 선정한다.
   
학생들이 대학생처럼 진로에 맞춰 원하는 수업을 골라 듣는 고교 학점제의 경우 올해 마이스터고 2학년까지 확대 적용한다.
   
이를 통해 교육부는 2025년 전체 고등학교에 고교 학점제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