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영남대, 미래 먹거리 산업 ‘인공 소고기’ 개발 이끈다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1-04-17 19:12:36

기사수정
  • 농축산부 ‘배양육 대량 생산 식용 세포지지체 개발사업’ 주관기관 선정

영남대학교 화학공학부 한성수 교수 연구팀/영남대 제공[박광준 기자] 영남대학교(총장 최외출)가 정부 지원으로 미래 먹거리 산업을 이끌 '배양육' 연구를 책임지게 됐다.


영남대 화학공학부 한성수 교수(생체재료연구실) 연구팀은 최근 '배양육 대량 생산을 위한 식용 세포지지체 개발 사업' 주관 기관으로 선정됐다. 이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 미래 대응 고부가가치 식품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인공소고기인 배양육 개발 사업이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영남대는 2025년까지 14억 원의 국비를 지원 받는 등 19억 원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이번 사업에는 충북대학교와 바이오 전문기업 메디칸(주)이 참여한다.


배양육은 가축사육 없이 실험실이나 공장에서 소 근육 줄기세포와 배지(먹이)를 이용해 배양장치 내에서 식용지지체에 세포를 부착.배양해 만드는 인공 고기다. 현재 일부 시판되고 있는 식물성 대체육과는 구별된다.


2050년이면 세계 인구는 90억 명에 육류소비량이 4.65억t(톤)으로 추정돼, 매년 육류 2억 톤의 추가 생산이 필요한 상황. 배양육 개발은 이를 위한 유일한 해결방법으로 꼽힌다.


특히 배양육은 전통적인 축산방식으로 고기를 생산하는 경우보다 친환경적이고, 자원 효율성이 상당히 높다. 토지 사용량은 99%, 가스 배출량은 96%, 에너지 소비량은 45% 줄일 수 있다. 이밖에도 열악한 사육 환경과 가축질병 발생 위험을 배제할 수 있고, 도축과 관련된 동물 복지 측면과 소비자 맞춤형 소고기 생산 등 다양한 이점이 있어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2025년 개발 완료될 계획으로, 생명과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연구자와 기업들이 미래식량자원 부족 및 동물 복지실현 차원에서 사활을 걸고 추진 중이다.


지난해 한해에만 3천600억원의 투자유치가 이뤄졌다. 이번 사업에도 4개 기업에서 각 연간 1억원씩 5년간, 총 20억 원의 연구비 투자가 확정됐다. 이외에도 기업에서 연구 종료 후 사업화를 위해 400억 원의 투자 의향을 밝혀,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업을 총괄하는 영남대 화학공학부 한성수 교수는 "전 세계 배양육 시장은 2025년 본격적으로 태동해 2030년 140조 원, 2040년에는 700조 원으로 세계육류 소비의 2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연구의 핵심은 천연 소고기의 조직감, 맛, 향을 구현하고, 저가로 생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