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시 “기후위기 대응...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확대”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2-03-21 13:29:24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서울시가 기후위기에 대응해 신재생 에너지 사용을 확대한다.


서울시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91%가 에너지 소비에서 발생하는데, 이 에너지 소비는 석유나 가스 등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비중이 67%로 높다며 신재생 에너지 보급을 확대한다고 21일 밝혔다.


서울시는 우선 지난해 기준 4.3%(0.8GW) 수준이던 신재생 에너지 보급률을 2026년 12.6%(1.6GW), 2030년 21%(2.4GW)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화석연료를 대체해 건물 냉·난방 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지열은 2030년까지 총 600MW를 설치할 계획이다. 올해 서울시 건물 3곳과 반포 재건축 사업, 신축 공공건물 등에 18MW를 우선 보급할 예정이다.


수열은 현재 대상 선정 중인 올해 환경부 공모사업의 선정지와 반포 재건축 사업에 19MW를 보급하고, 2030년까지 모두 305MW를 설치할 계획이다.


낙차를 활용해 연료비 없이 24시간 가동할 수 있는 소수력 발전도 가동한다. 


서울시는 내년 완공을 목표로 잠실대교 북측의 잠실 수중보에 2.5MW 소수력 설비를 설치하고, 암사 아리수 정수센터에도 정수처리 시설 낙차를 이용한 150KW 급의 소수력 발전시설을 올해 안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연료전지 보급도 확대해 올해 물재생센터 등 공공시설에 53MW 규모의 연료전지를 보급하고, 2030년까지 600MW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내연차량이 감소하는 추세에 맞춰 주유소에 연료전지, 태양광을 설치해 직접 전기를 생산하고, 충전시설까지 갖춘 ‘종합 에너지 스테이션’을 2030년까지 서울시 전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태양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건물 일체형 태양광 등을 올해는 공공청사, 태양광 신기술 시범사업 선정지, 철도 부지 등에 40MW를 보급하고, 2030년까지 총 800MW를 설치한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미활용 신재생 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 규제 개선 등 정부 각 부처에 제도 개선을 건의할 방침이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먼저 온실가스 주범인 화석연료를 줄여야 한다”면서, “서울 에너지 소비의 67%를 차지하는 화석연료를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하여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