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청년 독립운동가들의 ‘통합’ 운동단체 ‘한국혁명통일촉진회’, 80년 만에 실체를 드러내다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2-04-15 11:58:46

기사수정

한국혁명통일촉진회성립선언/출처: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연구소(Center for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박광준 기자] 국가보훈처, 1942년 촉진회 관련 문건 최초 발굴·공개 -일제강점기 청년 독립운동가들이 주축이 된 ‘통합’ 운동단체인 ‘한국혁명통일촉진회’와 관련한 문건이 80년 만에 최초로 공개됐다.


국가보훈처(처장 황기철)는 “그동안 자세한 활동내용이 알려지지 않아 실체를 파악할 수 없었던 1940년대 독립운동단체인 ‘한국혁명통일촉진회(이하 ‘촉진회’) 관련 문건을 다수 발굴해 공개한다”고 밝혔다.


촉진회는 1942년 6월 중국 쿤밍(昆明)에서 강창제, 조중철, 김우경 등 당시 한국독립당에 소속된 20~30대 청년 독립운동가들이 중심이 돼 결성한 단체다. 설립목적은 좌·우로 분열된 독립운동 단체 및 정당의 통합을 통해 대일전 승리와 연합국의 임시정부 승인을 이끌어낸다는 것에 뒀다.


관내 조선혁명동지들에게 고함/출처: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연구소(Center for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기간은 1년 남짓에 불과했지만, 청년들이 독립운동의 주역이 되어 시대적 소명인 정당을 통합해 독립운동 역량을 결집할 것을 촉구했다는 점에서 1940년대 독립운동사에서 새로운 의미를 갖는다. 


이번에 공개된 문건은 보훈처가 지난해 12월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연구소에서 수집한 것으로, 촉진회가 1942년 5월부터 1943년 1월까지 작성한 총 45쪽 분량의 문서 9건이다. 


문건은 중국 관내 청년들에게 촉진회의 주장을 전하기 위해 제작된 소책자와 미주 활동 독립운동가들에게 촉진회의 활동을 소개한 편지 등으로 구성돼 있다.


동맹국의 승리와 조선 독립/출처: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연구소(Center for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각 문건에서 촉진회는 당시 연합국의 승리와 조국독립이 가까워진 상황에서도 좌우로 분열돼있는 독립운동의 실상을 지적하면서, 정당통합은 연합국으로부터 임시정부를 승인받고 


세부적으로 '한국혁명통일촉진회 성립 선언(1942년 6월)'에서는 “대일전의 승리에 기여키 위해서는 청년들이 중심이 되어 독립운동 정당 및 단체의 통합이 필요하기에 촉진회를 설립”했음을 선포했고, '관내 조선혁명동지들에게 고함(1942년 9월)'에서는 “청년들이 시대적 임무인 정당통합을 위해 모든 노력을 쏟아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또한 '동맹국의 승리와 조선독립(1942년 9월)'에서는 “연합국의 승리를 위해 독립운동 역량을 결집할 것을 주장”했고, 마지막 문건인 '최근 관내 우리 소식(1943년 1월 16일'에서는 “연합국의 승리 이후 한국인 스스로가 독립국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통합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이와 같은 촉진회의 문건에 대해 김영범 교수(대구대학교)는 “80년 전 독립을 열망하는 젊은 독립운동가들이 좌·우를 뛰어넘는 통합을 기성 독립운동가들에게 강력히 요구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는 귀중한 자료”라고 평가했다. 

 

촉진회 위원 조중철이 이승만에게 보낸 서한/출처: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연구소(Center for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또한, 해당문건들은 촉진회의 설립 배경, 참여인사, 활동내용 등을 자세히 밝히고 있어, 1940년대 정당통합운동 역사를 밝히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오영섭 교수(연세대학교 이승만연구원)는 “촉진회 관련 문서가 대량으로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1940년대 정당통합운동과 관련된 기존 연구를 재검토해야 할 정도로 학술적 가치가 높은 문건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번에 공개된 문건들을 통해 기존에 독립유공자로 포상되지 않은 여러 인물들의 촉진회 활동이 새롭게 드러남에 따라 이들의 공적 확인에도 유의미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남궁선 보훈처 보훈예우국장은 “선열들의 독립운동 흔적들을 찾아내고 조국을 위한 희생과 헌신을 후대에 알리는 것은 국가의 마땅한 책무인 만큼, 앞으로도 국외 독립운동 사료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공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