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대법원 “범죄수익금 몰수, 공소사실 범행에 한해 가능”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2-12-04 18:18:08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보이스피싱 등 범죄수익금 몰수는 공소가 제기된 범위에서만 가능하다는 대법원의 판단이 나왔다.


대법원 1부(주심 박정화 대법관)는 최근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의 중간책 A 씨에게서 공소사실과 직접 관련이 없는 현금까지 몰수하도록 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동부지법으로 돌려보냈다고 4일 밝혔다.


대법원은 “몰수.추징 대상인 ‘범죄피해재산’의 범위를 정한 부패재산의 몰수 및 회복에 관한 특례법에 의하면 몰수.추징의 원인이 되는 범죄사실은 ‘공소가 제기된’ 범죄로 한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원심은 공소가 제기되지 않은 범죄사실이라도 몰수.추징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어떤 범죄사실과 관련 있는지 명확히 밝히지 않고 현금을 몰수할 수 있다고 판단했는데 이는 법리 오해”라고 지적했다.


현금 수거책이 피해자에게서 받은 돈을 관리책에 넘겨주는 역할을 한 A 씨는 지난해 10월 범죄수익금 1억 9천6백만을 전달한 혐의로 기소됐다.


1.2심은 모두 A 씨의 혐의를 유죄로 인정해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하면서 A 씨의 공소사실과 직접 관련이 없는 현금을 몰수하라는 명령도 내렸다.


이 현금은 수사 과정에서 이미 압수된 상태였다.


A 씨의 공소사실에 포함되지는 않았으나 보이스피싱 범죄 수익으로 보이는 현금을 몰수할 수 있다는 게 원심 판단이었다.


형법 제49조는 ‘행위자에게 유죄 재판을 하지 않을 때도 몰수 요건이 있는 때는 몰수만 선고할 수 있다’고 규정하는데, A 씨 사건에 이 같은 법리를 적용한 것이다.


그러나 대법원은 “우리 법제상 공소 제기 없이 별도로 몰수만 선고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돼 있지 않다”면서, “형법 제49조에 따라 몰수를 선고하려면 공소 제기된 공소사실과 몰수 요건이 관련돼 있어야 한다”고 판단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