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수자원공사, 남부지역 재난.재해 선제 대응 위한 비상식수 생산시설 확충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3-07-23 19:09:38

기사수정

한국수자원공사는 7월 21일 전라남도 장흥군 한국수자원공사 덕정정수장에서 친환경 병입 수돗물 생산시설을 개소하고 본격적으로 생산을 시작한다. 개소 현장에 참석한 한국수자원공사 윤석대 사장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박광준 기자]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21일 전라남도 장흥군 한국수자원공사 덕정정수장에서 친환경 병입 수돗물 생산시설을 개소하고 본격적으로 생산을 시작한다.


이날 개소한 병입 수돗물 생산시설은 한국수자원공사가 성남정수장(경기), 청주정수장(충북), 밀양정수장(경남)에 이어 네 번째로 설립한 병입 수돗물 생산시설이다. 


재해.재난 및 수도사고 등 발생으로 수돗물 사용에 불편이 예상되는 경우 비상 식수를 긴급지원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1.8L를 기준으로 하루 최대 1.5만 병의 병입 수돗물을 생산할 수 있고, 적은 용량으로도 호환할 수 있어 0.4L는 하루 최대 5만 병까지 생산할 수 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7월 21일 전라남도 장흥군 한국수자원공사 덕정정수장에서 친환경 병입 수돗물 생산시설을 개소하고 본격적으로 생산을 시작한다. 이날 개소한 병입 수돗물 생산시설은 재해·재난 및 수도사고 등 발생으로 수돗물 사용에 불편이 예상되는 경우 비상 식수를 긴급지원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1.8L를 기준으로 하루 최대 1.5만 병의 병입 수돗물을 생산할 수 있고, 적은 용량으로도 호환할 수 있어 0.4L는 하루 최대 5만 병까지 생산할 수 있다. 개소 현장에 참석한 한국수자원공사 윤석대 사장(사진의 왼쪽부터 두 번째)이 친환경 병입 수돗물 생산 과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특히, 이번 사업은 기후변화로 인해 남부지역의 홍수 및 가뭄의 발생빈도와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남부지역에 최초로 병입 수돗물 생산시설이 마련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올해 초 남부지역에 발생한 극심한 가뭄 등으로 전라 및 제주지역에 비상 식수 지원 필요가 발생했을 경우 기존에는 최대 300㎞ 이상 떨어진 지역에서 병입 수돗물을 공수해 지원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이번 사업을 통해 이러한 불편이 해소되고 재난.재해 및 위기상황 등에 대한 대응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최근 이어진 남부지역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지역 지원 등을 위해 생산시설을 상시 가동하고 있으며, 순천시, 곡성군, 고흥군 등 전라도 내 호우피해 지역 16개 시군에 약 9만 병(36톤)의 병입 수돗물을 지원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윤석대 사장(사진의 왼쪽)이 7월 21일 친환경 병입 수돗물 생산시설 개소 현장에 참석하고, 이후 장흥댐 홍수대응 현장을 방문하여 댐 운영현황과 대응 계획 등을 점검했다. 윤석대 사장은 “다목적댐은 집중호우로부터 국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시설인 만큼 긴장을 늦추지 말고 홍수대응에 임해 줄 것”을 당부하며, “특히 방류 시에는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업하여 철저하게 안내 계도를 시행하고, 피해지역에는 비상 식수 및 인력, 장비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하여 피해복구를 지원할 것”을 주문했다.한국수자원공사 윤석대 사장은 “병입 수돗물 생산시설이 마련되어 신속한 위기대응이 가능해졌다”면서, “이곳에서 생산되는 물을 통해 남부지역 내 물 복지와 물 안전으로부터 소외되는 지역이 없도록 물 안전망을 구축하고, 안전하고 깨끗한 물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수자원공사 윤석대 사장은 이날 병입 수돗물 생산시설 개소 현장 참석 이후 장흥댐 홍수대응 현장을 방문해 댐 운영현황과 대응 계획 등을 점검했다. 


윤석대 사장은 “다목적댐은 집중호우로부터 국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시설인 만큼 긴장을 늦추지 말고 홍수대응에 임해 줄 것”을 당부하고, “특히 방류 시에는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업해 철저하게 안내 계도를 시행하고, 피해지역에는 비상 식수 및 인력, 장비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피해복구를 지원할 것”을 주문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