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거래정지 전 주식 판 메리츠증권...금감원장 “조사할 만한 정황”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3-10-18 05:59:12

기사수정


[이승준 기자] 메리츠증권이 이화전기와 이아이디 등 이화그룹 계열 주식이 거래정지 되기 전 주식을 매도한 시점을 두고 의혹이 제기되는 데 대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강한 조사의 단서로 삼을 수밖에 없는 정황임은 틀림없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17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메리츠증권이 보유한 이화전기 주식을 해당 종목 거래정지 전날 매도했고, 이화전기가 리튬광산 사업을 발표하기 전 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통한 신주인수권을 행사했는데 이를 우연이라고 할 수 있냐"는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이 원장은 메리츠증권의 거래 형태에 대해 "건강해 보이지 않는다"고도 말했다.


'신주인수권부사채(BW)'는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일정액의 신주를 인수할 수 있는 권리로, 투자자는 채권을 보유함으로 인해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주가가 상승하면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


앞서 메리츠증권은 지난 2021년 이화전기가 발행한 400억 원 규모의 신주인수권부사채에 투자했다.


이후 지난 5월 김영준 이화그룹 회장이 횡령.배임 등의 혐의로 구속된 뒤 이화전기를 비롯한 그룹 계열 주식이 거래 정지됐는데, 메리츠증권은 거래 정지 하루 전날 보유 중이던 지분 전량 매도해 약 90억 원 규모의 차익을 실현했다.


이를 둘러싸고 시장에서는 메리츠증권이 내부 정보를 미리 알고 매도를 진행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용우 의원은 "이화전기 사태로 약 38만 명의 소액주주가 피해를 입었다"면서, "투자자 또는 발행자 관련 리스크를 제대로 확인했는지 의문이며 금감원이 메리츠증권의 투자 결정 과정을 면밀히 조사해 의혹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이날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최희문 메리츠증권 대표는 "거래정지가 되기 3주 전에 이화전기에 전환신청을 했다"면서, "신청하는 순간 회사의 담보권이 상실되는데 거래가 정지될 거란 사실을 알았다면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대표는 또 "매매 정지 6일 전 이화전기 유가증권 279억 원을 추가로 인수했는데 역시 거래가 정지될 것을 알았다면 추가 인수하지 않았을 것"이라면서, "조사에 철저히 임해 의혹을 철저히 소명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메리츠증권의 기업금융(IB) 본부 소속 일부 임직원들이 직무 정보를 이용해 사모 전환사채(CB)에 사적으로 투자하고 수십억 원 상당의 이익을 받은 것으로 드러난 최근 금감원 검사 결과를 놓고도 질타가 이어졌다.


검사에서 적발된 메리츠증권 IB 본부 3개 팀 가운데 1개 팀 직원들은 이득을 챙긴 뒤 전원 퇴직한 것으로 알려졌다.


나머지 팀에 대한 조사도 필요한 것 아니냐는 이용우 의원 질의에 이복현 원장은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고 답했다.


최 대표는 '관련 의혹으로 한 팀이 전원 사직했는데 이를 개인 일탈이라고 할 수 있느냐'는 지적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경제일반더보기
 기업·산업더보기
 금융더보기
 부동산더보기
 뷰티더보기
 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