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LH사장 “철근 누락 사태, 설계 검증기능 약화 등 복합적 원인이 불러온 결과”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3-10-30 18:12:13

기사수정


[이승준 기자]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LH 아파트 ‘철근 누락’ 사태는 설계 검증 기능 약화, 관리·감독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난 결과라는 자체 진단을 내놓았다.


국토교통부는 빠르면 다음 달 초 건설산업 정상화 방안과 함께 LH 혁신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사장은 2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이권 카르텔로 (철근 누락 등) 부실이 드러났다는 것에 동의하느냐’는 국민의힘 강대식 의원의 질의에 “LH형 무량판 지하주차장 구조에 익숙하지 못한 기술자들의 이해 부족, 설계 공모 의무화로 인한 LH의 설계 검증 기능 약화, 이를 검수할 수 있는 능력자와 인력 부족, 관리·감독 문제가 복합적으로 나타난 결과로 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사장은 “부실시공으로 안전성을 저해하고 심려를 끼쳐 국민들께 죄송하다”면서, “앞으로 이런 일이 없도록 애쓰겠다”고 말했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 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 지방 주택공사와의 정책 경쟁을 통해 LH 발전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는 지적에는 “지방 공기업과 정책적 사안을 공유하는 범위를 넓히고, 협력을 통해 부실시공을 예방하겠다”고 약속했다.


여야 국토위원들은 종합감사에서도 철근 누락과 콘크리트 강도 부족으로 재시공에 들어가는 인천 검단 LH 아파트 입주예정자들에 대한 합당한 보상안 마련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맹성규 의원은 “국토부가 주선해 (발주처) LH와 (시공사) GS건설이 합의점을 만들고 있고, 진일보한 것은 틀림없지만 주민들이 보상안에 동의해줘야 한다”면서, “경제적 보상으로 끝날 것이 아니라 정서적 보상까지 챙겨야 한다”고 촉구했다.


LH와 GS건설, 검단 아파트 입주예정자들은 오는 31일 만나 보상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검단 아파트 콘크리트 강도 부족 문제와 관련해 국토부는 올 연말까지 ‘콘크리트 단위 수량 검사제도’ 시행을 위한 품질지침을 개정하겠다고 종합감사 과정에서 밝혔다.


건설자재로 쓰이는 모래 품질 등급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는 계획도 밝혔다.


국민의힘 김희국 의원이 “소고기에도 투플러스(2+) 등으로 등급을 매기는데, 적어도 모래는 품질 등급화가 돼야 한다”면서, "원산지 표시제 도입을 촉구하자 김상문 국토부 건설정책국장은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경제일반더보기
 기업·산업더보기
 금융더보기
 부동산더보기
 뷰티더보기
 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