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의 향교 18] 배움과 가르침의 전당 '홍주향교'
  • 윤여금 기자
  • 등록 2023-12-25 03:59:45
  • 수정 2023-12-25 04:07:40

기사수정

                     ▲ 홍주향교(洪州鄕校) 충청남도 기념물(제135호), 면적 (4,195㎡)

[윤여금 기자] 홍주향교 충남도 기념물(제135호)는 처음 지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고려말에 세웠다고 전한다. 1408과 1420에 수리했다는 기록이 있고, 그 뒤 몇 차례의 큰 소실을 입었으나 1978년 대대적인 보수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췄다. 앞쪽에는 명륜당, 전사청이 있고 뒤쪽에는 대성전, 동무, 서무가 있고, 외삼문, 7의비, 예절관 등이 자리해 있다.

 

                     ▲ 홍주향교 홍살문

 

 

                     ▲ 하마비


향교는 문묘가 있는 신성한 곳이기 때문에 향교를 지날 때는 누구나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하마비(下馬碑)가 있다.

 

                 ▲ 홍주향교(洪州鄕校) 충청남도 기념물(제135호), 면적(4,195㎡)이고, 소재지는 

                    충남 홍성군 홍성읍 충서로1575번길 93이다.


                   ▲홍주향교(洪州鄕校) 외삼문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홍주향교는 유학을 가르치기 위해 나라에서 홍주에 세운 교육기관(관학)으로 홍주향교(洪州鄕校)를 처음 지은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고려말에 세웠다고 전한다. 조선 태종 8년(1408)과 세종 18년(1420)에 수리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그 뒤 몇 차례의 큰 소실을 입었으나 1978년 대대적인 보수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췄고, 1997년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됐다.

홍주향교는 홍성 대교리의 경사진 구릉에 자리 잡고 있고, 건물 배치는 앞쪽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에는 제사 지내는 공간인 대성전이 있어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대성전은 앞면 3칸·옆면 3칸 규모이며, 공자의 위패를 비롯하여 오성(聖), 송조 4현의 중국과 우리나라 18현(十八賢)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대성전 좌우에 동무와 서무가 있고, 축문을 태우는 망료대, 어둠을 밝히는 청료대, 손을 씻는 관수대의 관련 석물들이 남아 있고, 제사용품을 보관하는 제기고 등의 건물이 남아 있다.

 
#중국 5성(五聖)은 공자(孔子)·안자(顔子)·증자(曾子)·자사(子思)·맹자(孟子), 송조 4현(宋朝 四賢)은 주돈이(周惇)·정호(程顥)·정이(程)·주희(朱熹) 이다.


#한국 18현(韓國 十八賢)은 설총(薛聰)·안유(安裕)·김굉필(金宏弼)·조광조(趙光祖)·이황(李滉)·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김집(金集)·송준길(宋俊吉)·최치원(崔致遠)·정몽주(鄭夢周)·정여창(鄭汝昌)·이언적(李彦迪)·김인후(金麟厚)·성 혼(成渾)· 조헌(趙憲)·송시열(宋時烈)·박세채(朴世采)이다.

 

                     ▲ 내삼문(內三門)


                     ▲ 내삼문(內三門)

                                                             

                 ▲ 대성전과 동무와 서무


                     ▲ 대성전

                                  

               ▲대성전과 석물

                                                            

                     ▲ 동무와 석물


                  서무와 석물

         

                     ▲강당인 명륜당과 기숙사인 동재


                 ▲강당인 명륜당과 기숙사인 동재


                     ▲강당인 명륜당


                 ▲ 강당인 명륜당


                    ▲ 강당인 명륜당 내부


                 ▲ 기숙사인 동재

  

                 기숙사인 동재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제사와 교육의 기능을 담당했지만,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 7의비(7義碑)


 7의비(義碑)는 1894년 갑오동학난에 향교에서 공부하던 유생들이 의를 숭상하며 홍주향교를 지키던 중 잔혹한 등비들이 떼지어 쳐들어와서 일곱유생들을 묶어서 끌고나와 불에태워서 죽였다. 이들의 희생으로 향교는 무사했다. 7인 모두 홍주사람으로 오경근, 최민지, 방세응, 방석규, 이준복, 서종득, 최학인 등의 행적을 기리고자 이 비가 세워졌다.

                                                                                                                                     ▲예절관                                                                 


                 ▲예절관


       

                 ▲예절관 내부   


                           ▲예절관 내부에서 교육적인 형태로 전통문화 체험의 모습                                                       

                      ▲홍주향교

홍주향교 관계자는 “대성전 안에는 공자를 비롯해 중국의 명현들의 위패가 모셔져 있었고, 동무 서무에는 우리나라의 18현을 좌측9분, 우측9분의 위패를 모셨다가, 1945년 해방이 되고, 1949년에는 대성전에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모셔야한다고 해서 그에 따라 홍주향교는 대성전에 공자를 비롯해서 중국과 우리나라 18성현의 위패를 모셨다. 동무와 서무는 한동안은 비워져 있었다가 동무에는 제사음식을 준비하는 제기가 들어가 있고, 서무에는 유생들의 제복실이 되었다. 지금도 그렇게 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홍주향교 관계자는 “향교의 정원은 시대에 따라서 바뀌기는 하나 도관찰사가 있는 곳에는 50명, 목은 기본적으로 40명 이다. 홍주는 목이였으므로 40명에 해당된다. 구는 30명, 현은 20명이었다”며, 중등교육기관으로 유생들이 가르쳤"고 전했다.

홍주향교 관계자는 "현재의 홍주향교에서는 주말과 금요일에 주 2~3일 정도 교육적인 형태로 전통문화 체험적인 것과 공연은 년 2~3회 정도, 가을에는 해설있는 음악회(성악회), 봄에는 북청사자놀이 등의 공연을 열어, 사자탈도 어떻게 만드는지 배워보는 등 호응이 매우 좋았다.”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