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윤여금의 여행이야기 30] 호암산을 배산으로 둔 논산 ‘종학당’
  • 윤여금 기자
  • 등록 2024-01-23 19:05:14
  • 수정 2024-01-26 05:34:12

기사수정


[윤여금 기자] 종학당(충남 지방유형문화재)은 동토 윤순거 선생이 1625년에 사저(현 병사)에서 종중의 자녀와 문중의 내외척, 처가의 자녀들까지 지도 학습, 교육을 위해 세운 사설교육기관이다. 1665년 동토 윤순거는 명재 윤증을 초대 사장(師長)에 임명하고, 명재 선생은 1682년에 교육과정 및 학규인 ‘초학획일지도’와 ‘위학지방도’를 제정하여 운영했다. 1829년 현 위치로 이건했다. 화재로 인하여 소실되었다가 1790년대에 과천공 정규가 종학당을 건립했다. 창건 후 280년에 걸쳐 42명의 문과 급제자와 31명의 무과 급제자 배출했다. 현재 종학당, 정수루, 백록당, 보인당이 자리했다.


                       ▲ 종학당(충남 지방유형문화재 제153호, 1997년 지정)

 

종학당은 1627년 인평대군 사부 (사부는 왕자의 스승) 동토 윤순거(파평 윤씨 24세)가 사저에 종중의 자녀와 문중의 내외척, 처가의 자녀들까지 지도 학습, 교육을 위해 세운 사설교육기관이다. 

 

창립연대는 숭정원년의 상량문이 발견되어 1628년경 동토 윤순거(1596~1688) 건립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 종학당 입구의 홍살문

 

                                   ▲ 미하일 고프바초프 구 소련 전 대통령이 2008년 10월 

                                   2일 종학원을 예방하고 방명록에 싸인한 것을 금석문으로 

                                   남기도 있다.


                            ▲ 정수루와 백록당에 연결된 문


                       ▲ 정수루와 백록당

 

                             ▲ 정수루 (충남 유형문화재 제152호, 조선시대), 누각과 서재가 함

                             께하고 있는 건물 구조로 선비들이 학문을 토론하며 서로 시문도 

                             짓던 장소로 활용됐던 유적이다.


                             ▲ 정수루


                            ▲ 정수루


                           ▲ 정수루


                           ▲ 정수루


                                    ▲ 정수루


                            ▲ 정수루


                       ▲ 정수루


                       ▲ 정수루

                        

                           ▲ 백록당

 

                             ▲ 백록당


                       ▲ 백록당


                           ▲ 백록


1628년 현 기지에 상급과정 학사로 7간 전후퇴의 백록당과 7간 2층 누각인 정수루를 창건하고 대.소 과거 준비생 및 석학들의 학문 연구와 기호학파 유림들의 학문 교류 중심 도장 역할을 했다. 1665년 동토 윤순거는 명재 윤증을 초대 사장(師長)에 임명하고, 명재 윤증은 1682년에 교육과정 및 학규인 ‘초학획일지도’와 ‘위학지방도’를 제정하여 운영했다. 1829년 종학당을 현 위치로 이건하여 상급과정의 백록당 및 정수루와 초등과정의 종학당을 연계하여 종학을 통합 운영하여 오다가, 1910년 국치 후 일제의 강압에 의해 상급과정은 폐쇄되고, 초학만 유지되다, 1919 그마저도 폐문됐다. 

 

                     ▲ 종학당 전경


                           ▲ 종학당


                          ▲ 종학당

                          ▲종학당


                            ▲종학당


                           ▲종학당


                          ▲종학당


                          ▲종학당


                            ▲종학당


                          ▲ 종학당 배롱나무, 수고 5m, 가슴높이지름 0.48m (보호수 2022년 지정)


독립된 종학당으로서 건물을 갖추는 것은 유봉에 건립되는 1817년이 종학당이 단초가 된다. 1829년 과천 윤정규가 4칸 전후퇴의 건물을 마련함으로 현재의 위치로 이건, 규모를 갖게됐다. 반호 윤광안은 종학당의 건축자재와 400여권의 서책 등을 출연했다. 그 후 1853년과 1893 두 차례 걸쳐 개축 중수가 이루어졌다. 


종학당은 1987년 충남 문화재자료 제293호로 지정 됐다가, 1997년 원래 유서대로 종학당, 백록당, 정수루를 하나로 합하여 충남 지방유형문화재 제153호로 다시 지정됐고, 1999년 4칸 전후퇴로 원형복원 됐다. 

 

2001년 종중 결의에 의해 종학당, 백록당, 정수루, 보인당, 등 그 일원을 총칭하여 ‘종학원’으로 명명했으며, 창건 후 280년에 걸쳐 42명의 문과 급제자와 31명의 무과 급제자 그리고 수많은 생진과 및 석학을 배출했다. 


                         ▲ 보인당


보인당은 인평대군의 사부(왕자의 스승) 였던 동토 윤순거 선생이 노성면 두사리 물래고개에 본당과 동, 서재를 갖추어 유림들의 교육과 학문 창달 및 연구 그리고 교류를 위해 설립운영하던 곳이었는데, 중도에 퇴락하여 도괴된 것을 1987년 종회장 덕병공(명재 선생 8대손)이 서울 종로구 가회동에 있는 한옥을 매입해 이 곳으로 옮겨온 것을 부종회장 기병공, 운영위장이 강중공의 감독하에 강당을 건축했으며, 보인당이라고 하는 당호는 동토 선생께서 1650년 대 두사리 교육장에서 쓰던 당호를 그대로 계승한 것이다.

 

                           ▲ 보인당


                        ▲ 보인당


                            ▲ 보인당

 

                     ▲ 보인당


                      ▲ 종학당 활터


이 곳 활터 역시 과거 준비생들의 심신을 단련하기 위한 수련의 장소로 조성됐다. 과녘을 향해 날아가는 활시위 소리와 함께 호연지기를 기르며 큰 꿈을 키웠던 선조들의 모습이 되살아나는 듯 하다. 또한 활터에서 광석평야를 향해 말을 달려 무예의 기초를 닦아 왔음도 전해지는 바, 종학당은 문무를 겸비한 선비 양성에 주력했음을 증명하는 뜻 깊은 장소이다. 

1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