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금통위원들 "물가 2% 안착 확신까지 긴축 기조 유지해야"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4-01-31 01:48:16

기사수정

사진=사진공동취재단[이승준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들은 올해 첫 금리 결정회의에서 '전원 일치'로 기준금리를 3.50%로 동결하면서 여전히 불안한 물가 흐름을 가장 중요한 근거로 내세웠다.


하지만 지난해 11월까지 수개월간 이어진 '추가 긴축' 언급은 사라졌다.


조만간 기준금리 인하와 함께 통화정책 방향이 전환될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은이 30일 공개한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1월 11일 개최) 의사록에 의하면 당시 한 위원은 회의에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목표 수준에 안착해 가고 있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긴축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인플레이션을 안착시키지 못할 경우 장기간 고통을 감수하며 쏟은 노력이 수포가 된 사례를 과거 경험에서 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른 위원도 "물가가 기조적으로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나 여전히 목표 수준(2%)을 상당 폭 상회하고, 향후 물가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도 상존한다"면서, "최근 기대인플레이션이 다소 낮아졌지만, 물가가 목표 수준에 안착하기까지 상당 기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위원도 "물가 전망 경로의 불확실성이 충분히 해소되기까지는 인플레이션 흐름과 통화정책 파급 경로상 주요 지표의 움직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긴축 기조를 지속해야 할 것"이라고 동결을 지지했다.


그러나 기준금리 인상 등 추가 통화 긴축의 필요성은 더 이상 거론되지 않았다.


한 위원은 "경제 성장세는 확대되나 수출·소비 부문 간 차별화가 심해지고, 물가는 기조적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추가적 긴축 필요성은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앞으로 통화정책 기조 전환에 있어서는 인플레이션 압력 둔화와 기대의 안정 여부를 우선시하면서, 국내 수요와 민간 부채 등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직전 지난해 11월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물가가 현재 예상한 경로를 상회하고 목표 수준대로의 안착이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추가 긴축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는 견해가 나온 것과 대조적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경제일반더보기
 기업·산업더보기
 금융더보기
 부동산더보기
 뷰티더보기
 바이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