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당국, 독도에 집쥐 급증하자 '적정 관리 방안' 마련 착수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4-05-19 20:19:13

기사수정

지난 2021년 독도에 설치된 무인센서카메라에 포착된 집쥐/사진=대구지방환경청 제공[박광준 기자] 독도에 쥐가 급증해 당국이 체계적인 관리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은 내년 5월까지 연구용역을 통해 독도 내 집쥐 서식 현황을 파악하고 퇴치 및 추가 유입 방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독도에 사는 집쥐의 수는 2021년 기준 '100~150마리'로 추정되고 있다.


지난해 3차례 현장조사 결과를 보면 독도 동도의 태양광 발전시설 등의 지점에서 집쥐의 배설물이 확인됐고, 서도에서도 5개 지점에서 배설물이 확인됐다.


집쥐는 현재 독도에 서식하는 것이 확인된 사실상 유일한 포유류이다.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에 의하면 독도경비대에서 기르는 삽살개와 동도 부채바위 근처에서 관찰된 물개 1마리를 빼면 포유류는 집쥐가 유일하다.


독도의 집쥐는 바다제비와 벼과 식물류를 먹어 치우고 곳곳에 굴을 파면서 생태계를 교란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집쥐가 육지에서 200여 킬로미터나 떨어진 독도에 어떻게 들어왔는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대구지방환경청 관계자는 "독도는 접근이 어려워 사업수행기관 선정에 문제가 있었다"면서, "관계 기관이 의지를 모아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