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1980년대 자취 감춘 이후 '크낙새' 30여 년 만의 첫 발견
  • 박광준 기자
  • 등록 2019-05-03 22:47:31

기사수정
  • 서울 인근 야산에서 천연기념물 제197호 ‘크낙새’발견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서울 인근 야산에서 천연기념물 제197호 크낙새가 발견됐다는 시민 제보를 받고 조사에 착수했다.

시민 정현모씨는 3일 서울 인근 야산을 산책 중 크낙새로 추정되는 새를 발견하고, 사진과 함께 문화재청에 제보했다./사진제공=문화재청 

[박광준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서울 인근 야산에서 천연기념물 제197호 크낙새가 발견됐다는 시민 제보를 받고 조사에 착수했다.

  

시민 정현모씨는 3일 서울 인근 야산을 산책 중 크낙새로 추정되는 새를 발견하고, 사진과 함께 문화재청에 제보했다. 


제보한 사진에 의하면, 크낙새의 주요 특징인 검은 색 몸통에 배 부분이 흰색을 띄고 있는 등 크낙새 암컷의 모습과 유사하다. 이에 문화재청은 해당 지역에 크낙새가 서식하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해 제보 접수 즉시 관계 전문가를 파견해 현황 조사에 착수했다. 

  

현장 조사는 우선 육안조사와 플레이백 조사(Playback method: 같은 종의 소리를 들려줌으로써 반응.서식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의 조사) 등의 방법으로 추진하고, 필요하면 무인카메라를 설치해 지속해서 점검(모니터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크낙새는 딱따구리의 일종으로, 북한에서는 ‘클락 클락’운다고 해서 클락새로 부른다. 암수 모두 몸길이는 약 46㎝ 정도이고, 배와 허리는 흰색, 나머지 부분은 검은색이나, 수컷은 머리 꼭대기와 부리 옆의 무늬가 붉은색인 것이 특징이다. 


백두산 이남에만 서식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196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됐으나, 1980년대 이후 자취를 감추고 확인이 되지 않고 있다.


한편, 경기도 남양주시의 광릉 크낙새 서식지는 1962년 천연기념물 제11호로 지정되어 있다.

  

문화재청은 “지난해부터 북한지역의 크낙새 서식실태 남북 공동 조사.연구를 위한 협의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번 조사로 서울 인근에서 크낙새 서식이 확인될 경우 멸종위기에 처한 크낙새 복원 사업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