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식(寒食) 맞아 태조 건원릉 억새 자르는 ‘청완 예초의(刈草儀)’ 시행
  • 민병훈 기자
  • 등록 2020-04-09 01:51:06
  • 수정 2023-12-21 11:37:47

기사수정


[민병훈 기자]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나명하)는 5일 한식(寒食)을 맞아, 구리 동구릉(사적 제193호) 내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健元陵) 봉분을 덮고 있는 억새(청완, 靑薍)를 자르는 ‘청완 예초의’(靑薍 刈草儀)를 진행했다. 올해는 예년과 달리 코로나19 예방과 확산 방지 차원에서 일반시민 참여 없이 약식(略式)으로 거행했다. 


건원릉은 조선왕릉 중 유일하게 억새로 봉분이 덮여있다. 조선왕조실록 등의 기록에 의하면, 태조(太祖, 1335~1408년)의 유언에 따라 고향인 함흥의 억새를 옮겨와 봉분을 조성했다고 전해진다.
 
  예로부터 건원릉 억새는 1년에 한번 한식날 예초(刈草, 풀베기)를 했다. 문화재청은 한식에 건원릉 억새를 자르는 전통을 계승키 위해 조선왕릉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듬해인 2010년부터 매년 한식날에 일반 시민들과 함께 억새를 베는 ‘청완 예초의’를 거행해왔다.

  


‘청완 예초의’는 봉분의 억새를 베는 ‘예초의(刈草儀)’, 1년간 자란 억새를 제거했음을 알리는 ‘고유제(告由祭, 중대한 일의 이전이나 이후에, 일에 대한 사유를 고하는 제사)’, 고유제가 끝난 다음 제향음식을 나눠 먹는 ‘음복례’(飮福禮) 순으로 진행한다. 하지만 올해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일반 시민의 참여를 제한하고 의식을 최소화해 자체적으로 억새를 베는 ‘예초의’만 진행할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현재 궁궐과 왕릉 관람객의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궁궐과 왕릉 안내해설을 지난 2월 8일부터 중지하고 있고, 전 직원 마스크 착용과 특별 방역을 시행하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한, 이달에 예정돼 있던 궁궐과 조선왕릉 행사와 제향들을 전부 잠정 연기한 상태이다. 추후 코로나19 진정 상황에 따라 행사별로 시행 여부와 시기를 다시 확정할 계획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