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쪽샘 C10호 말 갑옷 연구 성과, 4,000일 기록 담다
  • 민병훈 기자
  • 등록 2020-04-12 01:58:43
  • 수정 2023-12-21 11:38:17

기사수정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종합연구 보고서 발간...말 갑옷 재현품으로 상반기 특별전도

경주 쪽샘지구 전경

[민병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지난 2009년 경주 쪽샘 C10호 목곽묘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말 갑옷에 대한 10년의 집약된 연구 성과를 종합해 ‘경주 쪽샘지구 신라고분유적Ⅹ-C10호 목곽묘 출토 마주.마갑 조사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 


2009년 경주 쪽샘 C10호 목곽묘 발굴조사 중에 발견된 말 갑옷(馬甲, 전투에서 말의 보호를 위해 착용된 갑옷)은 도굴되지 않은 상태의 완전한 형태를 갖춘 채 출토돼 세간의 큰 주목을 받았다. 


말 갑옷은 목곽 바닥에 서쪽에서 동쪽방향으로 목.가슴부분, 몸통부분(130cm×100cm), 엉덩이 부분 순의 완전한 형태로 정연하게 깔려있었고, 재갈, 안장, 등자(鐙子, 발걸이) 등 관련 유물까지 함께 수습돼 신라의 기마문화를 온전히 이해하는 자료가 됐다. 


경주 쪽샘 c10호 출토 마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09년 발굴조사 당시 이례적으로 고고학 조사와 병행해 740매에 이르는 말 갑옷의 보호를 위한 응급 보존처리를 현장에서 동시에 진행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온.습도 유지와 내부오염 방지를 위한 임시 가건물을 설치했고, 냉난방 등 공조시설을 마련해 최대한 일정 온도가 유지되도록 노력했다. 주위 토양에 10~30cm의 냇돌(냇바닥에 오랜 시간 있으면서 물살에 다듬어진 돌)이 포함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면서 말 갑옷의 온전한 수습을 위해 사전에 이와 비슷한 성분의 토양을 대상으로 모의 수습실험을 해보기도 했다. 그 결과 28톤에 이르는 말 갑옷과 주변부 토양을 손상 없이 완벽하게 떼어낼 수 있었다.

  

발굴조사가 완료된 이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약 10년에 걸쳐 말 갑옷에 대한 수습.보존.연구를 진행했고, 이번 보고서는 말 갑옷의 고고학적 출토 상황과 그 조사결과를 종합적으로 담은 기록과 노력의 집약체라고 할 수 있다.

  

도면과 사진, X-ray(엑스레이) 촬영 결과도 함께 수록했고, 각 부위에 대한 내용도 고고학 관점에서 상세하게 풀어냈다. 그리고 약 18개월이 소요된 말 갑옷 수습의 현장 분위기와 이송과정, 보존처리 과정에 대한 내용도 담았다. 

  말 갑옷 유기물 디지털현미경 촬영 조사

보존과학 연구를 토대로 말 갑옷 표면에 붙어있는 견.마 등 직물의 종류를 파악했다. 이와 함께 목질 흔적을 토대로 목곽에 사용된 목재가 소나무일 가능성도 확인했다. 삼국 시대 마갑에 대한 이처럼 상세한 종합보고는 국내에서 처음 이뤄졌다. 그리고 말 갑옷과 함께 말 투구, 말갖춤 일체의 복원에 대한 내용도 함께 담았다. 복원을 위해 그 연결방법과 착장방식에 대해 분석했고, 함께 출토된 재갈, 안장, 등자 등 말 갖춤 일체를 종합해 검토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이러한 종합연구 보고서를 바탕으로 실제 재현품도 제작했다. 사전 작업으로 말 갑옷 조각들과 같은 크기의 플라스틱 복제품을 먼저 제작해봤고, 갑옷 크기에 맞는 ‘제주 한라마’를 정해 복제품을 실제로 말에 입혀본 후 그 활동성을 분석하는 작업도 거쳤다. 


실제 재현품의 정밀한 착장 상태를 확인키 위해 현존하는 ‘제주 조랑말’의 계측 자료와 월성 해자 유적에서 출토된 말뼈도 함께 분석했다. 복원된 말 크기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한 말 모형도 갑옷 재현품 착장에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이 같은 결과를 반영해 최종적으로 제작한 이번 재현품은 말 투구.말 갑옷의 구조적 특징, 연결기법, 착장 상태를 구체적이고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경주 쪽샘 c10호 말 갑옷 재현품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