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립현대무용단 픽업스테이지 ‘스텝업’
  • 김진성 기자
  • 등록 2019-05-16 21:44:08

기사수정
국립현대무용단(예술감독 안성수)은 ‘지속가능한 무용 레퍼토리 발굴’을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안무공모 프로젝트 ‘스텝업’을 진행한다.

디너-이재영 ⓒimage Joom

[김진성 기자] 국립현대무용단(예술감독 안성수)은 ‘지속가능한 무용 레퍼토리 발굴’을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안무공모 프로젝트 ‘스텝업’을 진행한다. 


‘스텝업’은 기존 창작물이 보완 작업을 통해 완성도 높은 레퍼토리로 발전될 수 있도록 안정된 제작 시스템을 지원하는 국립현대무용단의 프로그램으로, 안무적 역량, 예술적 동기, 발전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서류심사부터 쇼케이스까지 공정한 과정을 거쳤다. 


올해는 총 39편의 공모작 중 2편이 최종 선정됐다. 


올해 ‘스텝업’은 PART 1과 PART 2로 나눠 2주에 걸쳐 총 4편의 작품을 무대에 올린다. 


무용학시리즈 vol. 2.5 트랜스포메이션-이은경 ⓒAiden Hwang

# PART 1 / 이은경 ‘무용학시리즈 vol. 2.5: 트랜스포메이션’ & 이재영 ‘디너’


오는 6월 7일부터 9일까지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에서 공연되는 PART 1에서는 이은경 안무의 ‘무용학시리즈 vol. 2.5: 트랜스포메이션’과 이재영 안무의 ‘디너’가 공연된다. 


‘무용학시리즈 vol. 2.5: 트랜스포메이션’은 이은경이 지난해 선보인 ‘무용학시리즈 vol. 2: 말, 같지 않은 말’과 이어진다. 이번에는 과거로부터 축적된 지식과 감정들로 ‘꽉 찬 몸(fully loaded bodies)’으로 주제를 압축시킨다. 


0g-정철인 ⓒAiden Hwang

‘꽉 찬 몸’을 가진 무용수들이 그것들을 지우고 털어내 비워진 신체에 새로운 정보를 다시금 채우는 반복적인 과정을 표현한다. 또한 극무용(Theatrical Dance) 및 실험성을 기반으로 한 창작 작업으로 유럽 무대에서 활동하고 있는 안무가 피터 암페가 새롭게 무용수로 합류해 더욱 신선한 무대를 예고한다.


이재영 안무가의 ‘디너’는 “나날이 발전하는 기술을 통해 편리와 효율을 우선으로 생각하는 사회, 이런 사회에서 몸을 움직여야 하는 춤과 한순간에 사라지는 공연은 가장 비효율적이고 비생산적인 활동이 아닌가?”라는 사유에서 출발한 작품이다.


# PART 2 / 정철인 ‘0g’ & 최강프로젝트 ‘여집합-강하게 사라지기’


여집합 집집집 합집여-최강프로젝트 ⓒBokco

다음달 14일부터 16일까지 공연되는 PART 2에서는 정철인 안무의 ‘0g’과 최강프로젝트 안무의 ‘여집합-강하게 사라지기’가 공연된다. 


낙하운동의 물리적 특성에 집중해 다양한 운동성을 풀어낸 ‘0g’은 남성 무용수 4인의 예측 불가한 움직임이 관객의 감각을 자극하면서, 지난 해 초연보다 중력의 질감을 더욱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안무가 더해진다. 낯설지만 매혹적인 음악을 만드는 뮤지션 ‘쾅프로그램’이 라이브 연주로 참여해 더욱 다이내믹하게 발전된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강진안과 최민선이 함께하는 ‘최강프로젝트’의 ‘여집합-강하게 사라지기’는 ‘우리의 시선으로부터 벗어난 대상을 제어, 통제하는 것이 가능한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됐다. 무용수와 퍼포머는 시공간을 고정하는 카메라를 통해 움직임의 해체와 변주, 왜곡과 변형, 생성과 중첩을 제시하고, 그 이면의 반복적 수행을 통해 관객이 다차원적 소동을 경험하게 만든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