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립극장, 창작지원사업 ‘함께 가는 길’ 선정작 15편 발표
  • 민병훈 기자
  • 등록 2020-09-19 11:35:04

기사수정


[민병훈 기자] 국립극장(극장장 김철호)은 전통예술분야 창작 공모사업 ‘함께 가는 길’의 창작지원작 15편을 선정했다. 


지난 5월 21일 공모를 알린 ‘함께 가는 길’은 국립극장이 코로나19로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민간 예술창작자를 지원하고 창작활성화에 기여키 위해 추진한 사업이다. 


선정된 작품에는 최대 5백만 원까지 창작지원금이 주어진다. 창작자는 국립극장과 해당 작품의 공연화를 협상할 수 있다. 


‘함께 가는 길’ 공모 결과, 창극 부문 13편, 무용 부문 5편, 국악 부문 17편으로 총 35편이 접수됐다. 지난달 열린 창극.무용.국악 각 분야별 5인의 선정위원 심사를 거쳐 15편이 창작지원작으로 선정됐다. 


선정작을 살펴보면, 창극 부문에는 ‘세한도’(유지혜) ‘서유기’(사성구)가 선정됐고, 무용 부문엔 ‘사도’(김남진) ‘나나니즘’(정미심) ‘우리 춤을 take out 하다’(오경진)가 선정됐다.  


국악 부문엔 ‘독주첼로와 바빌론’(정미선) ‘심연’(성예람) ‘파도’(장석진) ‘경복궁 타령’(박한규) ‘어린 꽃’(손다혜) ‘태평소 협주곡–Neo P(passacaglia)’(송정), 국악관현악을 위한 ‘소소시(小小時)(최지운) ’일천 기러기 날아가듯‘(김정희) ’아리아드네의 실‘(김창환) 국악관현악을 위한 18현 가야금협주곡 ’와룡매(臥龍梅)‘(김청림)가 선정됐다. 


국립극장은 선정된 15편 작품에 총 4천 6백만 원의 창작지원금을 지원한다. 


창극 부문에 선정된 창극 대본 2편에는 편당 5백만 원의 창작지원금이 지원되고, 전통무용 기반의 작품제안서를 제출한 무용 부문 선정작 3편에는 편당 2백만 원, 자유 주제의 국악관현악 악보를 제출한 국악 부문 선정작 10편에는 편당 3백만 원의 창작지원금이 주어진다.


한편, 국립극장은 전속단체들과 함께 이번 창작지원사업 선정작들의 공연화를 논의 중이다. 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김성진은 “선정된 작품 중 일부를 엄선해 2021년 상반기에 예정된 ‘이음음악제’에서 초연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국립창극단 역시 이번에 선정된 창극 대본의 공연화를 검토할 예정이다. 


김철호 국립극장장은 “당초 코로나19로 인해 민간 예술창작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함께 극복해나가고자 전통예술분야 창작품 공모를 진행했는데, 창작자 지원뿐만 아니라 전속단체의 우수한 레퍼토리를 확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면서, “단순한 경제적 지원을 넘어 선정작의 공연화를 통해 민간 예술창작자와 공공예술기관이 ‘함께 상생하는 길’로서 이 사업의 의미를 확장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