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왕실 의료진이 침술 연습한 청동인체상 온라인 공개
  • 민병훈 기자
  • 등록 2020-10-02 15:26:58
  • 수정 2023-12-21 12:00:58

기사수정


[민병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은 이번 달 ’큐레이터추천 왕실유물‘로 조선 시대 ’침과 뜸을 연습하기 위해 만든 청동인체상‘을 선정하고, 온라인에서 소개한다.
 
조선 시대 병을 치료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는 침과 뜸(침구술)이었다. 침구술로 병을 치료키 위해서는 인간이 지니고 있는 수백 개의 경혈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했다. 경험이 부족한 의료진이 시술하면 환자가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조선 왕실에서는 청동으로 경혈을 표기한 인체상을 만들어 정확한 침구술을 익히는 연습을 했다.

  

연습을 위해 제작한 청동인체상 머리 위에는 구멍이 있다. 여기에 물이나 수은을 넣은 뒤, 시술자가 올바른 혈 자리에 침을 놓으면 액체가 흘러 나오도록 했다. 



‘승정원일기’ 기록에 의하면 1747년(영조 23년) 숙종의 왕비인 인원왕후(1687~1757)를 치료하기 전 2명의 의관을 선정할 때 청동인체상으로 시험했다는 기록이 있어 왕실에서 직접 사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왕실에서 사용한 것으로 전해지는 인체상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이 유일하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지난해 5월부터 매달 전시되고 있는 유물 중 한 점을 선정해, 좀 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큐레이터 추천 왕실유물‘을 운영해 오고 있다. 현재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휴관 중임을 고려해 9월 선정 유물인 청동인체상은 유튜브 채널로 23일부터 공개할 예정이고 앞으로 진행될 전시체험과 교육운영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