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립중앙도서관, 학술 DB 서비스 확대로 비대면 학술연구 지원
  • 이진욱 기자
  • 등록 2021-03-01 18:43:22

기사수정
  • 다양한 학술자료 제공으로 연구분야별 정보격차 해소

[이진욱 기자] 국립중앙도서관(관장 서혜란)은 올해부터 국내 연구자의 비대면 연구 활동을 지원키 위해 학술 DB 서비스를 확대.제공한다.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국내.외 학술 DB 17종과 인문.예술 9종, 사회과학 9종, 자연.기술과학 3종을 포함해 총 38종 학술 DB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학술지 논문은 물론, 통계 데이터와 연구방법론 교육 동영상 등 다양한 학술자료를 학교나 연구실 등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올해에는 타 분야보다 구독하는 기관이 적은 인문.예술 분야의 학술 DB 서비스를 확대한다. 또한, 지난해에도 서비스를 제공했던 인문.예술 분야에서 이용률이 높은 JSTOR, China Academic Journal 등은 올해에도 도서관 외부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올해에는 외부 전문가 자문 결과를 반영해 인문.예술 분야 학술자료를 중점적으로 제공키 위해 국내 구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학술 DB 2종(Humanities Source Ultimate, Project Muse)을 추가했다. 또한 다른 학술분야에 비해 단행본 활용도가 높은 특성을 반영해 인문.예술분야 학술 전자책이 수록된 전자책 DB 2종(EBSCO eBook Academic Collection, iG Publishing eBook EBA Model)을 확대한다. 
 
동 데이터베이스는 국립중앙도서관 정기이용증 소지자라면 누구나 도서관 누리집(nl.go.kr 로그인 > 자료검색 > Web DB)에 접속해 이용할 수 있다.

향후 국립중앙도서관은 국내 연구자의 학술 DB 이용 활성화를 위해 국내 학회를 대상으로 이용 안내를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학술 DB 활용, 논문 작성을 위한 데이터 분석 등 연구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도 3월부터 순차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서혜란 관장은 ”자료구매비 규모가 적은 대학도서관들이 학술 DB 구독 예산 부족으로 인해 양질의 학술자원을 제공하기 어려워지는 상황"이라면서, "앞으로도 국립중앙도서관은 연구분야별 학술정보 격차를 해소하고, 코로나19와 같은 국가 재난상황에도 비대면 연구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균형적인 학술자료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