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시민단체 “감사원, 신영복체 사용한 경찰.국정원 감찰하라”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1-07-19 16:34:00

기사수정

지난 9일 열린 최관호 신임 서울경찰청장 취임식 장면. 최 청장 배경에 쓰인 표어는 과거 통일혁명당 사건에 연루됐던 고(故) 신영복 전 성공회대 교수의 서체로 제작됐다./서울경찰청

[박광준 기자] 서울경찰청이 통일혁명당(북한 연계 지하당 조직) 사건에 연루됐던 고(故) 신영복 전 성공회대 교수의 서체를 표어에 사용한 것과 관련, 우파 시민단체들이 19일 규탄 성명을 발표했다.


국가보안법 수호 자유연대는 이날 성명을 통해 "서울경찰청 비전 표어에 수많은 서예체 중 하필 통혁당 신영복의 글씨체를 선정·게시한 것은 북한의 대남 적화공작에 맞서 목숨으로 자유 대한민국을 지켜낸 선배 경찰들의 혼과 국가 정체성을 모독하고 부정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감사원은 국정원의 원훈석(院訓石)과 서울경찰청의 비전 표어에 간첩 글씨체를 채택한 경위 등에 대한 직무감찰을 즉각 실시해 책임자를 법에 따라 조치하라”면서, “우리는 국가정체성 모독 행위를 지지하고 실행하는 자들의 명단과 활동을 기록해 역사적으로 단죄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보안법 수호 자유연대에는 한반도 인권과 통일을 위한 변호사 모임(한변), 자유민주연구원, 행동하는자유시민, 덕우회, 바른사회시민회의 등 100여개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앞서 최관호 신임 서울경찰청장은 지난 9일 취임식에서 ‘가장 안전한 수도치안, 존경과 사랑받는 서울경찰’이란 글귀가 적힌 푸른색 벽을 등지고 취임사를 했다. 


이를 본 상당수 경찰 간부들이 문제의 글귀가 신영복체임을 지적했다. 대공 수사를 담당하는 안보경찰들 사이에선 “경찰 책임자가 국보법 위반 전력이 있는 인사의 글씨체를 적어놓고 취임하는 게 말이 되느냐”라면서 반발하는 기류가 상당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의 글귀는 서울경찰청의 ‘비전 표어’로, 최 청장의 전임인 장하연 전 청장 시절 만든 것이다. 장 전 청장은 현 정부 출범 직후 청와대 국정상황실에 파견돼 문재인 대통령의 복심인 윤건영 당시 국정상황실장과 호흡을 맞췄다.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장하성 주중 대사의 친척이기도 하다. 신 전 교수는 문 대통령이 평소 존경하는 사상가로 꼽아왔다.


이에 앞서 국가정보원도 지난달 4일 ‘신영복체’로 쓴 새 원훈석을 공개해 논란이 됐다. 과거 대공 수사를 주도한 기관(국정원)과 대공 수사권을 이관받게 된 기관(경찰)이 공안사범의 서체를 원훈·표어에 사용하는 것을 두고 적절성 논란이 일었다.


통일혁명당은 북한의 공작금을 받아 대한민국의 전복을 꾀하다 1968년 일망타진됐다. 김종태를 비롯한 주범 5명이 사형을 선고받고 158명이 검거됐다. 통혁당 책임비서였던 신 전 교수는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대법원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20년을 복역하다 1988년 사상 전향서를 쓰고 출소한 뒤에도 “난 사상을 바꾼다거나 동지를 배신하는 일은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