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장수 동촌리 고분군’사적 지정 예고
  • 민병훈 기자
  • 등록 2019-07-31 18:07:14
  • 수정 2023-12-21 11:02:39

기사수정
  • 전북 지역에서 확인되는 최대 규모 가야고분군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전라북도 장수군에 있는 장수 동촌리 고분군(長水 東村里 古墳群)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 예고했다.


[민병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전라북도 장수군에 있는 장수 동촌리 고분군(長水 東村里 古墳群)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 예고했다. 


‘장수 동촌리 고분군’은 장수군 장수읍 마봉산(해발 723.9m)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산줄기와 능선을 따라 지름 20~30m 내외의 중대형 고총을 포함한 83기가 분포된 고분군이다. 유구와 유물의 특성을 근거로 5세기 초엽부터 6세기 초엽에 걸쳐 형성된 가야세력의 수장층 고분군으로 추정하고 있다. 


2003년 처음 발굴조사가 이뤄진 후 지난해까지 총 6차례의 시굴.발굴조사가 있었고, 현재까지 확인된 고분은 총 83기이다. 이는 전북 지역 가야고분군 중 단일유적으로는 최대 규모의 가야 고분군이다. 가야계 구덩식 돌덧널무덤(수혈식 석곽묘, 竪穴式 石槨墓)에서 가야계 토기와 백제계 토기가 혼재된 채 발견돼 가야문화뿐만 아니라 백제와의 역학관계를 밝힐 수 있는 중요 유적으로 확인됐다. 

  


특히, 2015년 발굴조사에서는 가야계 고분 최초로 징(釘)이 박힌 ‘편자(蹄鐵)’가 말뼈와 함께 출토됐고, 2017년 조사에서는 고령, 합천, 함안 등의 지역 수장층 무덤에서만 출토된 것과 같은 재갈이 출토된 바 있다. 그 밖에 고분들에서 둥근고리자루칼, 은제귀걸이, 휴대용 화살통 등 그동안 대가야와 소가야계 수장층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들도 확인돼 동촌리 고분군이 수장층의 무덤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1호분의 평면은 타원형으로, 주변에 호석(護石)을 두르지 않아 그동안 확인된 영남지방의 가야고분과는 차별된다. 무덤 축조기법은 지표면과 생토면을 반반하게 고른 후 1m 내외의 높이로 흙을 쌓고 다시 되파기를 하여 묘광(墓壙)을 마련했다. 마한의 분묘 축조기법에 영향을 받은 묘제양식으로 보인다.


한편, ‘장수 동촌리 고분군’은 그동안 백제권으로 인식됐던 장수 지역에 가야세력이 존재했다는 것을 알리는 중요 유적이다. 정부혁신 역점과제인 가야사 조사.연구는 물론, 가야와 백제의 역학관계와 교류사를 잘 보여주는 유적으로 고대 사회상을 밝혀줄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유적으로 평가된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