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립부경대, 반도체학과 대학원 신설 추진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2-08-03 20:44:51

기사수정
  • 학부 50명, 대학원 200명 등 연간 250명 규모...2024학년도 학과 개설 목표로 교육부와 협의

부경대 대연캠퍼스 전경/부경대 제공[박광준 기자] 국립부경대가 반도체학과 및 대학원 신설을 추진한다.


부경대는 학부 50명, 대학원 200명 등 연간 250명 규모의 반도체 전문인력을 배출하는 반도체 학과와 차세대 반도체 전문 대학원 신설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부경대는 최근 첨단 학과 신설 계획에 대한 내부 의견수렴을 마치고, 현장 맞춤형 반도체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기반을 구축키로 했다. 부경대는 2024학년도 학과 신설을 목표로 교육부와의 협의를 거쳐 승인을 받을 계획이다. 대학원은 빠르면 내년에도 개설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부경대는 원래 있던 반도체 분야 관련 학과(나노융합공학과 재료공학전공 신소재시스템공학전공 디스플레이반도체공학전공 등)와 융합전공 및 마이크로 디그리 과정을 비롯해 반도체 분야 정부 재정지원사업으로 운영 중인 ‘반도체 전공 트랙 사업’ ‘스마트 그린 융복합 소재 인재육성 연구단’으로 인.물적 인프라를 이미 확보했다.


반도체 학과 및 대학원이 신설되면 파워반도체와 지능형반도체 등 첨단 반도체 분야 지식은 물론, 반도체 기업과 협력으로 실무역량까지 갖춘 현장 맞춤형 첨단 반도체 전문 인재들이 배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반도체 실험 실습 전용 공간도 마련한다. 반도체 분야 기업으로부터 지원받기로 한 60억 원 상당의 반도체 장비 등을 활용해 산학협력 특성화 캠퍼스인 용당캠퍼스에 단독 건물로 실험 실습실을 조성한다. 부경대는 인근 대학과 기업의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실무교육을 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키로 했다.


특히 부경대는 교육.연구 효과 극대화를 위해 반도체 분야에 강점을 보유한 경북대 고려대 금오공대 서울과학기술대 연세대 한양대 KAIST 등 전국 주요 대학과 최근 잇달아 협약을 맺으면서 학점 교류 등에 필요한 학술교류 체계도 마련했다.


미래 유망한 첨단산업 분야에서도 인재 양성을 확대한다. 이차전지 등 에너지 소재 분야를 비롯, 지역 특성과 연계한 해양 모빌리티 분야의 전문인력을 키우기 위한 융합전공 및 전공트랙을 개설한다. 디지털금융 분야 학과도 신설해 첨단산업 분야 인재 양성과 산업 발전에 시너지 효과를 낼 계획이다. 


장영수 총장은 “국립대학으로서 첨단 신산업 분야 인재를 양성한다는 정책 방향에 부응하고 연구 성과를 산업현장에 적용, 지역산업의 성장과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반려동물관리사 교육과정 모집
 Campus 라이프더보기
 건강·병원더보기
 법률/판결더보기
 교육더보기
 보건더보기
 환경더보기
 지역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