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의 서원 75] 조인벽(趙仁璧)을 추모하고 있는 양양 '동명서원'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2-09-16 16:11:59
  • 수정 2022-09-20 10:11:05

기사수정


[이승준 기자] 1628년(인조 6) 본부사(本府使) 조위한(趙緯韓) 등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인벽(趙仁璧)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키 위해 충현사(忠賢祠)를 설립해 위패를 모시고 동명서원이라 했다. 


조인벽의 본관은 한양(漢陽). 쌍성총관 조휘(趙暉)의 증손이고,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돈(趙暾)의 아들이다.



대대로 용진(龍津)에 살았다. 1356년(공민왕 5) 아버지와 함께 동북면병마사 유인우(柳仁雨)를 도와(護軍) 쌍성(雙城)을 수복한 공으로 호군(護軍)이 됐다. 1363년에는 김용(金鏞)의 토벌에 공을 세우고, 수복경성(收復京城) 2등공신으로 책봉됐다.


1372년에는 가주(家州)에서 난동자들이 지방 관리를 죽이는 일이 발생하자 판사(判事)로서 이들을 토벌했다. 이후 왜구가 함주(咸州)와 북청주(北靑州)를 노략질하자 만호(萬戶)로서 군사를 매복시켰다가 갑자기 습격해 왜구를 대파하고 봉익대부(奉翊大夫)에 올랐다. 



1375년(우왕 1) 밀직부사로서 충혜왕의 아들을 자칭한 중 석기(釋器)를 잡는 데 공을 세우고, 다시 동북면원수로 출정해 왜구를 토벌했다.1377년에는 신주(信州).옹진현(甕津縣).문화현(文化縣) 등지를 침입한 왜구를 공격했으나 적세가 완강해 전과를 올리지 못했다. 


이듬해에 판밀직(判密直)으로서 화포를 사용해 수군을 훈련시켰고, 1379년에는 강릉도원수(江陵道元帥), 이듬해에는 강릉도상원수(江陵道上元帥)가 돼 왜구를 격퇴하는 데 공훈을 세웠다. 1383년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로서 동북면도체찰사(東北面都體察使)가 돼 변방의 방비를 맡고, 1385년에는 사도도지휘사(四道都指揮使), 그리고 곧이어 교주도원수(交州道元帥)가 됐다. 



1388년 위화도회군에 가담해 삼사좌사(三司左使)가 된 뒤 수차 유폐된 우왕을 찾아 의대(衣帶)와 향연을 베푸는 직임을 맡기도 했다. 1389년(공양왕 1) 판의덕부사(判懿德府事)가 됐고, 이듬해 회군의 공으로 2등공신에 책록됐다. 환조(桓祖)의 딸인 정화공주(貞和公主)와 혼인했던 까닭에 조선왕조 개국 후 용원부원군(龍源府院君)에 봉해졌다. 시호는 양렬(襄烈)이다.


동명서원은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해오던 중, 전란으로 전소돼 1787년(정조 11) 경상북도 봉화(奉化)로 옮겨서 복원했다. 그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고종 8) 훼철됐고, 1898년 강원도관찰사 조종필(趙鍾弼)이 양양 조산리의 서원유지에 유허비(遺墟碑)를 세웠다. 



1974년부터 서원복원추진위원회가 구성돼 복원을 추진, 1982년에 완공했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충현사, 6칸의 재실, 신문(神門), 동.서 협문 등이 있고, 사우인 충현사에는 조인벽의 위패가 봉안돼 있다. 


재실은 원내의 여러 행사와 유림의 회합, 제향(祭享) 때 제관들의 숙소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