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교육부, 116년 전통 ‘인천 창영초등 이전안’ 부결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3-02-01 02:52:42

기사수정

사진 출처 : 인천동구 제공[이승준 기자] 유형문화재인 인천 원도심의 ‘창영초등학교’를 이전하는 안이 교육부 심사에서 부결됐다.


교육부는 학교 신설.이전을 심의하는 중앙투자심사를 열고 인천시 동구 창영초등학교 이전안을 재검토하라며 부결했다.


충분한 공론화 과정 없이 학교 이전이 추진됐다는 취지의 반대 의견서가 제출되면서 주민 수용성 등을 고려하는 심사 결과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30여 개 시민사회단체가 모인 ‘인천창영학교 이전사태를 우려하는 시민모임’은 오늘(1/31) “인천시교육청이 인천 최초의 공립학교인 창영초등학교 이전의 중요성에 비해 충분한 공론화를 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면서, “이번 교육부 심사 결과를 잘 새겨 지역사회와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논평했다.


그러나, 창영초등학교 학부모회와 운영위원회는 “2026년에 금송구역 입주가 시작되면 초등학생 900명가량이 추가로 유입돼 과밀학급으로 교실을 더 지어야 하는데 학교 용지가 문화재보호구역이라 증축도 어렵다”면서, “별도 초등학교를 신설하면 창영초등학교와 새 학교 학군이 겹쳐 원도심 창영초등학교는 폐교 위기에 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과밀 해소와 여중 신설 등을 위해 창영초등학교 이전을 추진해온 인천시교육청은 지역사회와 소통이 우선이라며 한 걸음 물러선 상태이다.


인천시교육청은 “학부모, 학교 관계자, 지역사회 모두가 공감할 방안을 찾기 위해 소통하겠다”면서, “오는 4월 다시 중앙투자심사가 열리는데 재검토 의견 등을 고려해 안건을 다시 상정할지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인천시교육청은 1907년 개교한 창영초등학교를 인근 금송 재개발정비 사업구역으로 옮기고 빈 창영초등학교 자리에 지역에 필요한 여중을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인천 최초 3.1운동 발상지이자 인천시 지정 문화재인 창영초교의 이전에 반대하는 시민사회단체들의 반론이 제기됐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천년 역사향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