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공공극장 사유화 논쟁 다룬 연극 ‘오만한 후손’ 공연
  • 민병훈 기자
  • 등록 2019-09-04 17:44:03

기사수정
  • 남산예술센터에서...오는 18일부터 29일까지


[민병훈 기자] 서울문화재단 남산예술센터가 2019 시즌 프로그램의 네 번째 작품으로 남산예술센터를 둘러싼 공공극장 논쟁을 다루는 연극 ‘오만한 후손들(원작 이양구’각색 고해종.연출 류주연.극단 산수유 공동제작)'을 오는 18일부터 29일까지 공연한다.


오만한 후손들은 공공극장의 위상과 위치에 대한 질문을 관객들과 공유키 위해 바람에서 시작됐다. 남산예술센터의 전신은 드라마센터다. 


드라마센터는 1962년 동랑 유치진(1905~1974)이 한국 민족문화의 발전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미국 록펠러 재단의 지원을 받아 한국 정부가 제공한 땅에 개관한 극장이다. 건축가 김중업이 그리스의 야외극장을 본 따 원형극장으로 설계했고, 현존하는 극장 중 건축의 원형이 그대로 보존된 가장 오래된 근현대식 공연장이다.


서울시는 2009년부터 극장의 소유주인 서울예술대학(학교법인 동랑예술원)으로부터 드라마센터를 임차했고 서울문화재단이 남산예술센터라는 이름의 공공극장으로 위탁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1월 서울예술대학교가 서울시에 일방적으로 임대 계약 종료를 통보하면서 연극계 안팎에서는 극장의 공공성이 훼손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후 공공극장 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가 조직되는 등 남산예술센터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공론화 과정을 거쳤다. 관련 연구를 엮은 책 ‘유치진과 드라마센터-친일과 냉전의 유산(공공극장으로서의 드라마센터 정상화를 위한 연극인 비상대책회의 저)’도 발간됐다.


오만한 후손들은 극장의 역사를 추적해 부조리함을 재연하는 데 그치지 않고 ‘무엇을 기준으로 가치를 판단할 것인지’ 묻는 작품으로, 이 작품은 1962년 극장의 개막공연이었던 ‘햄릿’으로부터 시작된다. 


극이 진행될수록 주인공 햄릿과 극을 연기하는 배우들의 이야기가 섞여 들어가면서 연극과 현실의 경계는 점차 허물어지진다. 여기에 생동감 있는 르포르타주가 겹쳐 ‘민족문화의 화합’을 위한 극장이 현재에 이르러 어떻게 ‘합법적’으로 사유화됐는지 법의 논리가 아닌 공공의 정의로 문제를 반추한다.


식민, 냉전, 독재 정권을 지나면서 당시 관료들과 결탁했던 일부 인사들에게 주어진 기회는 불평등했고 그것을 수행하는 과정은 불공정했다. 그러나 이 과정은 모두 합법적인 서류로 남았다. 오만한 후손들은 ‘불법이라고는 찾을 수 없지만, 어딘가 찜찜한’ 남산예술센터를 둘러싼 문제를 들여다본다.


연출을 맡은 류주연(극단 산수유)은 지난 1월 남산예술센터 시즌프로그램을 발표하는 기자간담회에서 “드라마센터 사유화 문제는 연극인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이번 공연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고 밝혔다. 


오만한 후손들은 이양구 작가가 극을 쓰고, 고해종 작가가 각색과 드라마터그를 맡았다. 극단 산수유에서 류주연 연출가와 긴 시간 동안 호흡을 맞춰온 이승훈, 이현경, 이종윤, 이재인, 신용진, 현은영, 박시유, 반인환, 이지혜, 홍현택, 김신영, 홍성호, 서유덕 등의 배우들이 대거 출연한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