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삼국시대 전략 요충지 ‘장수 침령산성’ 사적 지정
  • 이승준 기자
  • 등록 2023-08-03 01:44:01
  • 수정 2023-12-21 10:46:24

기사수정


[이승준 기자] 신라와 백제 접경 지역의 전략적 요충지였던 전북 장수군 '장수 침령산성'이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됐다.


'장수 침령산성'은 둘레 497m의 산성으로 7세기 초 백제가 축조한 뒤 고려 초기까지 사용했고, 낙동강 유역의 신라세력과 금강 유역의 백제 세력의 접경지역에 있었던 전략적 요충지였다.


'침령'은 침령산성이 있는 고개 이름으로 「만기요람」, 「대동지지」, 「해동지도」, 「대동여지도」등의 문헌에 '침치', '침치고성', '침령'으로 기록됐으며, 현재는 침령산성으로 불린다.


침령산성은 2005년 정밀지표조사를 시작으로 2014년부터 2020년까지 다섯 차례 발굴조사를 통해 집수시설, 건물지, 문지(門址) 등의 유구와 유물이 발견됐다.


특히, 산성 내부에서 발견된 집수시설 3기는 축조기법이 정교하고 규모도 커 고대 집수시설 축조기술을 파악할 수 있다.


북고남저(北高南低) 지형에 축조된 침령산성은 남벽과 북벽이 길고, 동벽은 짧고 서벽이 긴 모습으로, 현재는 남벽과 북벽, 동벽 일부 구간이 남아 있으며 높이는 약 5~10m이다.


집수시설과 건물지에서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됐다. 특히 집수시설에서 전라북도 동부지역의 지배체제 변화 양상을 이해할 수 있는 '직구단경호'(백제), '소호'(신라, 작은 단지), '청자 완편'(고려, 사발 조각) 등이 출토된 것을 비롯해 기와, 금속 열쇠, 목간 등 다양한 종류와 시기의 유물이 발굴됐다.


문화재청은 "침령산성은 삼국시대부터 고려 초까지 한반도 고대국가 간의 치열한 각축전이 일어난 역사적 장소이며, 출토유물 등을 통해 정치체의 지배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뛰어난 학술적·역사적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으로 평가된다."고 전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