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시 문화재 60] 경국사 지장시왕도 (慶國寺 地藏十王圖) 外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3-12-04 23:33:14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 경국사 지장시왕도


경국사 지장시왕도는 1870년에 경선 응석(慶船 應釋)과 봉감(奉鑑),자한(自閒), 체훈(軆訓)이 그린 개운사 지장시왕도를 초본으로 해 혜산축연에 의해 제작된 것이다. 혜산축연(惠山 竺演)은 19세기 후반 ~ 20세기 전반 강원도와 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화승으로 금강산의 신계사, 유점사를 비롯한 강원도 일대의 사찰들과 흥천사, 봉림사 등 경기지역 사찰의 불화를 많이 조성한 화승이다. 그는 서울지역에서도 활발하게 불화를 제작해 현재 서울에서 조성한 작품은 20여 점이 남아있는데, 그중 1887년 경국사 불화 제작시에는 수화사(首畵師)로 활동하면서 불사를 주도했다. 


경국사 지장시왕도/사진-문화재청이 시기에는 그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파격적인 음영법이 아직 형성되지 않은 듯 전통적인 수법의 양식이 보여진다. 특히 이 불화는 선악동자를 함께 그린 지장시왕도 형식의 대표적인 작품으로서, 유난히 가늘고 긴 눈과 아주 작은 입 등 얼굴 한 가운데로 몰려있는 이목구비라든가 놀란 듯한 동그란 눈동자와 좁은 미간, 눈 주위와 코, 뺨 부분에 음영을 표현해 얼굴의 골격을 강조한 점은 다른 지역의 불화와 구별되는 서울경기지역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 경국사 감로도(慶國寺 甘露圖)


경국사 감로도/사진-문화재청경국사 감로도는 수락산 감로도(1868년), 불암사 감로도(1890년), 봉은사 감로도(1892), 청룡사 감로도(1898년), 보광사 감로도(1898년) 등 19세기 중엽 이후 서울, 경기지역에서 유행한 감로왕도의 전형적인 도상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조성 당시 불교의 제의식(齋儀式) 장면을 비롯해 서민들의 생활상 등 수륙재 의식과 생활상을 충실히 묘사했다. 특히 다양한 인물들의 표현과 생동감있는 자세 등의 연출로 인해 화면 전체가 생기있는 분위기를 잘 보여준다. 또한 당시 강원도와 서울, 경기지역에서 활동하던 대표적인 화승인 축연과 철유가 제작한 작품이자 상궁들의 시주로 제작된 불화로서 당시 왕실에서의 불화발원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 경국사 팔상도(慶國寺 八相圖)


경국사 팔상도/사진-문화재청경국사 팔상도는 1887년 상궁들의 시주로 19세기말 서울, 경기지역의 대표적 화승인 보암 긍법(普庵 亘法)을 비롯하여 금운 순민(錦雲 洵玟), 봉규(奉奎), 종현(宗現) 등이 그린 팔상도로 팔상의 각 장면 중에서 주요한 장면만을 부각시켜 그린 그림이다. 각 相의 내용은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구성이 안정되어 있고 청색의 사용을 자제함으로서 격조를 느끼게 한다. 따라서 19세기 후반 서울·경기지역 화승의 새로운 도상과 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 경국사 신중도(慶國寺 神衆圖)


경국사 신중도/사진-문화재청

경국사 신중도는 1887년에 혜산 축연과 허곡 긍순이 함께 조성한 신중도로서 상궁들의 시주로 조성되었다. 천부중과 천룡팔부를 한 폭에 묘사한 형식이라든가 산신과 조왕신이 위태천의 협시로 등장하는 점, 주악천녀의 등장 등은 전형적인 19세기 신중탱화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면서도 다양한 존상의 세밀한 표현과 균형을 이루는 구성과 더불어 화사(畵師)의 필력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 경국사 괘불도(慶國寺 掛佛圖)


경국사 괘불도/사진-문화재청경국사 괘불도는 1878년 5월, 고종과 명성황후 민씨, 익종비 신정왕후 조씨, 헌종계비 명헌왕후 홍씨, 왕세자(후의 순종)의 성수만세를 기원하며 제작, 봉안된 작품으로 병조 판서 민겸호와 대호군 서당보를 비롯하여 20여명의 상궁 등 100여명의 시주로 조성되었다. 또한 1858년에 흥국사 괘불을 조성한 금곡 영환과 한봉 창엽의 주도로 제작하여 흥국사 괘불과 유사한 도상을 보여주는데, 화면을 꽉 채운 불보살의 당당하면서도 화려한 모습이 보는 이를 압도하게 하며 조선말기 서울지역 불화의 주요한 시주자였던 상궁과 고관이 공동으로 시주해 조성한 괘불로 주목되는 작품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