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시 구석 구석 199] 배렴 가옥(등록문화재 제85호)
  • 이승준
  • 등록 2024-02-03 06:29:21
  • 수정 2024-04-10 21:51:45

기사수정


[이승준 기자] 화가 제당 배렴(1911∼1968)이1959년부터1968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살았던 집으로, 3동의 건물이ㅁ자형 구조를 갖추고 있다. 2004년9월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됐

 이미지 크게보기


서울 계동 배렴 가옥은 화가인 제당 배렴(霽堂 裵濂, 1911∼1968)이1959년부터1968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살았던 집으로, 3동의 건물이ㅁ자형 구조를 갖추고 있다.이는ㄱ자형 안채와ㄴ자형 바깥채가 마주보는 튼ㅁ자형 한옥으로, 1936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배렴이 살던 때에는 사랑채로 들어가는 별도의 출입구(솟을대문)가 있었고,대문과 안마당 사이에는 안채가 바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내외담(사잇담)이 놓여 있었다.배렴은 이 집에서 1959년부터 1968년까지 살았다. 식물키우기를 즐겨 난이나 화초를 화분에 심고 가꾸어 사랑방과 마루, 안마당에 놓았다. 안마당에는 목련나무, 감나무, 매화나무, 사랑방 뒤쪽에는 라일락나무가 있었다. 서예가 관심을 둔 배렴은 추사 김정희, 소전 손재형 등 조선시대부터 동시대에 활동한  서예가의 글씨를 수집했다. 또한 창경궁 ‘영춘헌’, 창덕궁에 있는 주련을 복제해 집 안팎에 걸어두었다. 



한국화가 제당 배렴은 경상북도 금릉(현재 김천)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성산(星山). 호는 제당(霽堂). 1924년 금릉청년학관 중등과에 입학해 2년의 신학(新學) 과정를 수료하고 1928년 서울로 올라와 이상범(李象範)의 청전화숙(靑田畵塾)에서 전통 화법을 공부했다. 


1928년 서울로 올라온 뒤 이듬해 제9회 서화협회전람회(書畵協會展覽會)에 처음으로 ‘만추(晩秋)’를 출품하면서 화단에 이름을 알렸다. 1936년 서화협회의 마지막 전람회까지 해마다 출품했다. 초기에는 스승 이상범의 화풍인 ‘청전풍’을 따랐으나, 1939년 금강산 여행 후 실경수묵산수로 대표되는 독자적인 화풍을 완성해 나갔다. 



1939년에는 청전화숙을 나와 금강산 일대를 답사한 뒤 이듬해 서울의 화신화랑에서 첫 개인전을 가졌고 이때부터 이상범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자적이고 개성적인 화풍을 보이기 시작했다. 1941년부터 1943년까지는 청전화숙(靑田畵塾) 동문전에 참가했다.


광복 직후 창설된 조선미술건설본부에 참가했고 같은 해 9월에는 이응로(李應魯), 장우성(張遇聖), 이유태(李惟台), 조중현(趙重顯) 등과 전통 회화의 새로운 진로를 연다는 의욕으로 단구미술원(檀丘美術院)을 조직했다. 그리고 1946년 3월에 창립전을 개최했다. 그때 그의 출품작은 새로운 역사의 출범을 상징한 ‘생신(生新)’이었다.




1947년에 미군정청 문교부가 전국종합미술전을 열 때 심사위원을 지냈다. 1949년에는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국전)가 창설되자 추천 작가.초대 작가로 참가했다. 1953년부터 1967년까지는 계속 국전 동양화부 심사 위원을 역임하면서 화단에 영향력을 미쳤다. 1954년에 대한민국예술원회원이 되었고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강사를 역임했다.


중년 이후의 작품은 온화하고 유연한 필치로 전통적 화격(畵格)을 실현시킨 독자적인 산수화와 화조화에 집중됐다. 1964년부터 홍익대학 미술학부 교수를 지냈다.



1963년에 대한민국문화훈장 국민장을 받았고, 이듬해에는 대한민국예술원상을, 1967년에는 서울특별시 문화상을 수상했다. 1970년 신세계 화랑에서 유작전이 개최됐다. 


한국화계에서는 심전 (心田) 안중식.소림(小林) 조석진을 제1대, 청전 이상범.소정(小亭) 변관식.이당(以堂) 김은호를 제2대, 제당 배렴.월전(月田) 장우성.운보(雲甫) 김기창을 제3대 한국화가로 꼽는다. 


조정육 미술평론가는 배렴을 ‘장승업-안중식-이상범 계열의 대표작가’로 보았다. 이경성 미술평론가는 배렴을 “재기보다는 꾸준한 노력과 자기 예술을 추진한 중거리형 천재”, “인간 배렴은 죽어도 예술가 배렴은 죽지 않았다”고 평한 바 있다./사진-이승준 기자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