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시 구석 구석 237] 구 동대문운동장 & 동대문운동장기념관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4-02-11 22:06:32
  • 수정 2024-04-10 22:23:29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구(舊) 동대문운동장(東大門運動場)은 현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자리에 있었던 종합경기장이다. 이 중에서도 특히 축구장은 동대문운동장, 야구장은 동대문야구장으로 구분해서 부르기도 했다. 80년간 한국 스포츠의 산실 역할을 했으나, 2007년 철거를 시작으로 폐장됐다.



동대문운동장이 건립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5년이다. 위치는 조선시대에는 하도감(下都監)과 훈련도감(訓鍊都監), 임오군란 때에는 청(淸)나라 제독 오장경(吳長慶)이 진을 쳤던 자리로서 면적 9만 5,764㎡의 종합경기장이었다. 건립 당시의 명칭은 경성운동장이었다. 이후 이 운동장은 80년간 한국 스포츠와 영욕의 역사를 같이했으나, 8.15광복 후부터 폐장될 때까지 시설이나 규모면에서는 사실 낙후된 감이 없지 않았다.



8.15광복 이후 경성운동장은 서울운동장으로 개칭됐다. 그리고 1962년의 보수공사로 육상경기장을 비롯해 야구장.수영장.배구장.테니스장 등이 국제규모의 운동경기를 치를 수 있는 시설을 갖추었다. 잇따라 1966년 대대적인 확장공사가 이루어져 야구장에 야간 조명시설이 마련됐고, 1968년에도 보수공사가 이루어져 메인스타디움인 육상경기장이 비로소 면모를 갖추었다.



규모를 살펴보면 육상경기장.야구장.테니스장.배구장.수영장.탁구장 등의 면적 9만 5,764㎡ 가운데 육상경기장 필드가 3만 7,755㎡, 스탠드가 2만 3,677㎡, 기타시설이 3만 4,332㎡였다. 400m 트랙을 갖춘 육상경기장은 2만 3,500명, 야구장은 2만 6,000명, 다른 경기장도 2,000명에서 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체육시설이었다. 하지만 육상경기장은 2003년 3월부터 폐쇄돼 임시 주차장 및 풍물시장으로 사용됐다.


한편 서울운동장이라는 명칭은 1984년 서울종합운동장(현 잠실종합운동장)이 개장하자 1985년부터는 다시금 동대문운동장으로 재개칭됐으나 워낙 오래된 시설인데다가 도시계획에도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이유로 동대문운동장은 2007년 철거를 시작, 폐장됐다. 현재 구 동대문운동장 부지에는 2009년 10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이 개장했고, 2014년 3월에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가 개장했다.




동대문운동장기념관(東大門運動場記念館)은 2007년 12월에 철거된 동대문운동장(東大門運動場)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2009년 건립된 전시관으로, 동대문운동장의 추억을 회상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전시한다. 동대문역사관과 함께 동대문역사문화공원(東大門歷史文化公園) 안에 위치해 있다.


1925년 경성운동장(京城運動場)으로 건립된 이래, 동대문운동장(東大門運動場)은 근.현대 한국스포츠 경기의 산실이었다. 또한 1945년 8월 15일 광복 직후 이승만(李承晩)박사 환영 대회가 이곳에서 열리는 등 격동기의 주요한 정치 집회 장소였다. 이처럼 동대문운동장은 한국 근·현대사 속에서 큰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그리하여 2007년 12월 동대문운동장이 철거되고 그 부지에 2009년 10월 27일 동대문역사문화공원(東大門歷史文化公園)이 신설되는 동시에, 동대문운동장기념관(東大門運動場記念館)이 함께 개관했다.


동대문운동장기념관은 동대문운동장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를 전시하고 있다. 1920년대 경성운동장 건립부터 1970년대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를 거쳐, 1980년대 프로야구 원년 개막에 이르는 한국 스포츠의 역사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고, 과거 동대문 운동장 조감도 및 축소모형을 비롯해 야구.축구.육상 등 각 경기의 스포츠 용품이 전시되고 있다. 



또한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렸던 경기의 주요 포스터와 입장표 등도 관람 가능하다. 이외에도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야구.수영.육상 등과 관련된 사진 합성기와, 육상 게임기 등이 구비돼 있고, 기념관 뒤에는 2007년까지 운동장의 불을 밝힌 조명판이 남아있어 동대문운동장의 잔상(殘像)을 엿볼 수 있다.


기념관 이용시간은 오전 9시부터 저녁 7시까지이고 매주 월요일에 휴관한다. 관람 소요 시간은 평균 20분이며 입장료는 무료, 주차료는 유료이다./사진-박광준 기자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