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시 구석 구석 259] 명재상 서애 유성룡이 어린 시절 살았던 '유성룡 집터'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4-02-18 08:04:35
  • 수정 2024-04-10 22:55:51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이곳은 서애 유성룡이 어린 시절 살았던 집터이다. 서애 유성룡은 일찍이 관리로 등용되었고 임진왜란 당시에는 호서, 호남, 영남을 관장하는 삼도 도체찰사를 맡아 전시의 군사 업무를 관장했다. 이곳은 유성룡이 어린 시절 살았던 집터로, 조선시대 한양 남부에 위치한 이 마을은 ‘묵사동(墨寺洞)’ 또는 ‘먹절골’이라 불렸는데, 이유는 부근에 ‘묵사(墨寺)’ 혹은 ‘먹절’이라 부르던 절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남산 기슭에서 발원해 이 주변을 흐르던 개울 이름도 묵사동천(墨寺洞川)이었다. 이 개울 상류는 풍경이 수려해 조선시대 많은 문사들이 이곳에서 책을 읽고 시를 지었다고 한다.


유성룡은 경북 의성 사촌리에서 황해도 관찰사 유중영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한양으로 올라와 건천동(현 중구 인현동)에서 자랐다. 그 후 청년이 되어서는 퇴계 이황의 제자가 되어 안동 도산서당에서 3년간 공부한다. 이황은 유성룡의 지식과 됨됨이를 보고 “이 청년은 하늘이 내린 사람이다.”라고 전한다. 유성룡은 어려서부터 매우 영특하고 지혜로워 6세에 '대학'을 배우고 9세에 '논어'를 읽고 16세에 향시에 합격했다. 이후 1564년(명종 19) 25세의 나이로 문과시험에 급제해 진사가 되었고, 이후 궁궐 내 요직을 맡으면서 승승장구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던 해에는 조선시대 최고의 관직인 영의정에 올라 임진왜란을 막기 위해 노력했다.



일본이 전쟁을 준비하는 것을 눈치 챈 유성룡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에 이순신을 정읍현감에서 전라좌수사로 발탁하고, 권율장군을 형조정랑에서 북쪽 국경지대 요충지인 의주 목사로 승진시킨다. 유성룡은 임진왜란 초기에는 군사를 모아 거세게 쳐들어오는 왜적을 막았다. 그리고 원군으로 조선에 온 명나라 군대가 식량이 부족해 본국으로 돌아가겠다고 했지만 유성룡의 설득으로 명군은 계속 남게 되었고 결국 전쟁을 승리로 이끈다. 명군의 참전으로 왜적의 공격이 잠잠해지자 훈련도감을 만들어 군사를 모집하고 군사훈련을 실시한다. 치열했던 전쟁이 점차 사그라지자 농토가 피폐해져 떠돌아다니는 백성들을 위해 대동법을 건의한다. 대동법은 나라에 바치는 공물 대신 쌀을 바치는 제도이다. 



또한 문벌과 신분, 출신 지역을 따지지 않고 인재를 등용하자는 제안도 한다. 그러던 중 1598년 모함으로 관직에서 물러난 후 고향인 하회마을로 내려와 임진왜란을 되돌아보면서 '징비록'을 쓴다. 제목인 ‘징비’는 중국의 고전 '시경' 소비편에 나오는 ‘지난 일을 징계해 후일의 근심거리를 그치게 한다.(豫其懲而毖役患)’라는 구절에서 따왔다. 유성룡은 죽을 때까지 청렴하고 정직한 삶을 살았기 때문에 ‘조선의 5대 명재상(名宰相)’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히고 있다.


유성룡은 임진왜란 때 겪은 뼈저린 후회와 교훈을 후세에 남기기 위해 '징비록(懲毖錄, 국보 제132호)'을 저술했다.


유성룡은 말년인 1598년에 북인(北人)의 탄핵을 받아 관직이 삭탈(削奪)됐다가 1600년에 복관됐으나 그 후 벼슬에 나가지 않고 고향 안동 옥연서당(玉淵書堂)에 은거하면서 저술활동에 전념했다.



현재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228 중앙 에너비스직영 퇴계로지점 주유소 앞 화단에 1989년에 설치한 ‘유성룡 집터’ 표지석이 있다. 한편 서울특별시는 1998년 4월 문화재지정위원회의 결의에 따라 유성룡 집터 부근인 퇴계로4가 교차로에서 필동3가까지의 약 375m의 도로를 ‘서애로(西厓路)’로 지정했다. 


남산골 한옥마을로 가는 왼편 큰 길에 유성룡 집터를 알리는 표지석이 서 있다. 어린 시절 이곳 건천동에서 이순신을 만난 유성룡은 자립심과 자존심이 강한 이순신의 성품을 눈여겨보았다. 그 후 유성룡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 전쟁을 대비하기 위해 이순신을 정읍현감에서 6등급이나 승진시켜 전라좌수사가 되게 한다. 건천동(乾川洞)은 이 밖에도 많은 인물이 태어난 곳입니다./사진-박광준 기자(자료사진 포함)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