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한국의 전통사찰 15] 백제불교 최초 도래지, 영광 ‘불갑사’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2-09-16 08:04:04
  • 수정 2024-04-02 03:15:00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영광 불갑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 백양사의 말사로, 백제 침류왕 원년(384)에 인도승 마라난타가 세웠다는 설과 무왕 때 행은 스님이 세웠다는 설이 있으나 세운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 후반에 중창했고, 고려 후기에 각진국사가 머무르면서 크게 중창했다. 당시 수백 명의 승려가 머물렀고 사전(寺田)이 10리 밖까지 이어졌다고 한다.




정유재란을 겪은 이후 법릉이 중창했고 1634년에는 해릉이 중창하였는데, 여러 차례 중창을 거치면서 절의 규모가 점차 줄어들었다. 1802년(순조 2)에는 득성이 대대적으로 중창했다. 또 869년(고종 6)에는 설두가, 1876년(고종 13)에는 설파가, 1879년(고종 16)에는 동성이 각각 중창했다. 1938년에 설제가 중수했고, 1984년에도 중수가 이어졌고 1996년에 기와를 새로 입히는 등 보수를 했다.


청왕문/사찰 경내의 중심으로 들어가는 중문역활을 한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조선 중기 이후의 양식을 그대로 간직한 대웅전(보물 830)을 비롯해 팔상전, 칠성각, 일광당, 명부전, 만세루, 범종루, 향로전, 천왕문(전남유형문화재 159) 등이 있다. 이외에 각진국사가 심었다고 전해지는 수령이 700년 정도 된 참식나무(천연기념물 112)가 있다.


석가모니 불상을 모셔 놓은 법당인 대웅전은 18세기 이전에 세운 것으로 보이는데, 기와 가운데 ‘건륭 29년(乾隆二十九年)’이라고 쓴 것이 발견돼 조선 영조 40년(1764)에 고친 것으로 짐작한다. 그 뒤 융희 3년(1909)에 수리했다.


불갑사 대웅전/사진출처-문화재청 규모는 앞면 3칸.옆면 3칸이고,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과 비슷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해 짜은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지붕 위부분에서 작은 석탑과 보리수를 조각한 장식을 볼 수 있고, 가운데 칸 좌우의 기둥 위에는 용머리를 조각해 놓았다. 또한 가운데 칸에 달린 문은 연꽃과 국화 모양으로 꾸며 뛰어난 창살 조각 솜씨를 엿보게 한다. 건물 안쪽의 모서리 공포 부분에도 용머리를 장식하고 있고 천장은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꾸몄다.


화려한 무늬와 조각을 새긴 조선 후기 목조 불전 건축으로 시대적 특징을 잘 보존하고 있어 중요한 연구자료가 되고 있다.


영광 불갑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靈光 佛甲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불갑사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나무로 만든 삼세불좌상으로,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해 왼쪽에는 약사불이 배치되고 오른쪽에는 아미타불이 자리하고 있다.


석가모니불은 주존불로서 삼불 가운데 가장 크고 건장한 신체에 무릎이 넓어 안정돼 보인다. 육계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머리에는 정상계주와 중앙계주를 큼직하게 묘사했고, 네모꼴의 얼굴에는 잔잔한 미소가 엿보인다. 두 귀는 길어서 어깨까지 늘어졌고, 약간 굵어진 목에는 세 개의 주름인 삼도(三道)가 뚜렷하다. 옷은 양어깨를 모두 덮고 있는 형식으로 오른팔을 드러냈고, 옷주름은 두 다리 위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고 있다. 수인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고 있는데, 양손 모두 마치 실제 인물의 손처럼 표현해 사실성이 돋보인다.


약사불과 아미타불 또한 불명확한 육계, 팽창된 얼굴, 분명한 이목구비, 부피감 있고 편안한 자세, 사실적으로 표현된 양 손, 자연스럽게 흘러내린 옷주름 등의 세부 표현에서 본존인 석가모니불과 공통적인 특징을 보인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석가모니불에 비해 크기가 다소 작아지고 양어깨를 모두 덮은 옷에 오른팔을 드러내지 않고 아미타인(阿彌陀印)의 손 모양을 하고 있다.


불상 안에서 발견된 불상 조성기에 의해 1635년 무염(無染)스님을 비롯한 승일.도우.성수 등 10인의 화승들에 의해 조성됐음을 알 수 있다.


이 불상은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무염비구의 작품들 가운데 가장 초기의 것으로, 전라도.충청도.강원도지역을 거쳐 폭 넓게 활약하던 무염일파의 작품과 경향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불갑사 만세루



영광 불갑사 불복장 전적(靈光 佛甲寺 佛腹藏 典籍)/사진출처-문화재청

영광 불갑사의 명부전과 팔상전 그리고 사천왕상에서 나온 복장전적은 몇 권의 고려본을 포함해 대부분 조선조 전기에 간행된 것으로 법화경, 금강경 등 당시 널리 유통된 대승경전들과 불교전문강원 중등과정인 사집과(四集科)의 교재를 비롯한 선종관련 이론서, 수륙재 관련 문헌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들은 조선전기 한국불교신앙 형태를 살피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함께 나온 31건의 나한상과 시왕상 등의 조상 발원문, 중국에서 수입한 만력년간의 불교문헌은 우리나라 불교사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등 한국불교사상과 문화를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들이다.


영광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북한지(靈光 佛甲寺 참식나무 自生北限地), 사진은 영광불갑면의참식나무잎과열매참식나무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대만, 중국 등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울릉도와 남쪽의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고 있다.


영광 불갑면의 참식나무 자생 북한지대는 불갑사라는 절 뒤편 산 중턱쯤에 있다. 나무들의 높이는 대략 6m 내외이고 군데군데 모여서 자란다. 주변에는 동백나무, 서어나무, 느티나무 등이 자란다.


전설에 의하면, 삼국시대에 이 절에 있던 정운이라는 스님이 인도로 유학을 떠나 공부하던 중 인도의 공주를 만나 사랑을 하게 됐다. 이 사실을 알게된 인도의 국왕은 정운 스님을 인도에서 떠나게 했다. 정운 스님과의 이별을 슬퍼한 공주는 두 사람이 만나던 곳의 나무 열매를 따서 줬고, 스님이 그 열매를 가져와 심었는데 그것이 자라서 참식나무가 됐다고 한다. 이 자생지의 나무들은 그 나무의 씨앗들이 퍼져 자란 것이라고 전해진다.


영광 불갑면의 참식나무 자생 북한지대는 참식나무가 자랄 수 있는 가장 북쪽 지역으로 식물분포학적 연구가치가 높고, 인도와 우리나라의 교류관계를 알려주는 문화적 가치도 크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영광 불갑사 범종루영광 불갑사 동종은 주종기에 의하면 ‘獅子山 鳳林寺 大鍾’으로 1702년(康熙四十一年壬午, 조선 숙종 28년)에 “金尙立子三 金水元 金成元 片手金成奉”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기록했다. 불갑사의 동종은 주종기가 남아있어 제작연대와 제작 장인, 봉안처, 시주자가 확인되는 18세기 초의 종이다. 조선후기 동종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종장들의 내력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으로 주종연구에 중요한 작품이다.


일광당 불감사 영월루

영광불갑사고적급위시답병록(靈光佛甲寺古蹟及位施沓竝錄)/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05호1999년 2월 26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됐다. 1책 87장으로 구성됐고, 불갑사와 관련된 문헌자료로는 유일한 것이다. 주지 채은(采隱)의 발원으로, 승원문에서 당시에 전해지던 불갑사의 사적과 양전에 관한 기록(기해양안)을 필사해놓았다. 사찰에 관한 기록 중 가장 오래된 자료인 진각국사비는 비문만 ‘동문선’에 전한다. 이 문헌에 의해 건립연대와 이제현이 1359년(공민왕8)에 비문을 서사(書寫)했다는 내용을 알 수 있게 됐다. 


불갑사 양안은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첫째, 조선시대 일반 양안의 작성형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어 자료로서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고, 둘째, 양안을 작성하는 데 참여했던 인물들의 명단이 구체적으로 기록돼 있을 뿐만아니라, 끝부분에 영광군수의수결이 서명돼 있어 사료적 가치를 입증한다.


셋째, 당시 불갑사 주지 채은의 주도 면밀한 계획에 따라 작성됐고, 넷째, 한 시기에 한 사람에 의해 체계적으로 작성돼 본문의 모든 내용이 동일인의 서체로 필사됐다. 당시 불갑사의 사적과 재정 상황을 비롯해, 조선 후기 사찰 경제와 사회.경제사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영광 불갑사 팔상전 영산회상도(靈光 佛甲寺 八相殿 靈山會上圖)영광 불갑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일괄(靈光 佛甲寺 冥府殿 木造地藏菩薩三尊像과 十王像 一括)/사진출처-문화재청 

불갑사 명부전 존상들은 효종 5년(1654)에 대웅전 목조삼세불좌상(1635년)을 조성한 조각승 무염(無染)과 그의 제자인 해심(海心)과 그 일파 조각승들에 의해 조성됐다. 지장보살상을 비롯한 여러 존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에는 화원질(畫員秩)에 수화승(首畵僧) 해심 이름 앞에 스승 무염과 사형으로 추정되는 정현(正玄)이 기록돼 있어, 조선후기 조각승 사승 관계를 살필 수 있다. 


영광 불갑사 팔상전 영산회상도(靈光 佛甲寺 八相殿 靈山會上圖)/사진출처-문화재청 

영광 불갑사 팔상전 영산회상도는 석가모니가 영축산에서 행한 설법광경을 도설한 것으로, 화기의 기록으로 제작자와 제작연대를 확실히 알 수 있는 작품이다. 1777년에 비현 등 15인의 불화승에 의해 제작됐다.


영산회상도는 안정된 구도와 화면의 변화, 양록.선홍.양청과 같은 선명한 색조의 사용, 등장인물들의 상호의 표정묘사, 가늘고 섬세한 세필의 선묘 등 18세기 후반의 회화양식을 구사하고 있고 회화적으로도 좋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작품의 제작에 참여한 화승들은 18세기 중엽부터 19세기 초까지 활동한 비현, 복찬, 쾌윤 등으로 이들은 조계산 선암사를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경상도 지역까지 그 영역을 확장해 작품활동을 했던 불화승유파의 작가들이다. 보존 상태도 양호하고 회화작품으로서 예술적 가치도 클 뿐만 아니라 뛰어난 화승들의 작품으로 보존가치가 크다./사진-문화재청, 윤정숙 기자


[Scent of Millennium History 3] Bulgapsa Temple, the first destination of Baekje Buddhism

[Reporter Park Gwang-jun] Yeonggwang Bulgapsa Temple is the branch temple of Baekyangsa Temple, the headquarters of the 18th parish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nd there are theories that it was built by Marananta, an Indian monk, in the first year of King Chimryu (384) of Baekje, and there is a theory that it was built by a monk during King Mu.

It was reconstructed in the late 8th century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was greatly reconstructed in the late Goryeo Dynasty when Gakjin Guksa stayed. At that time, hundreds of monks stayed, and it is said that the dictionary continued out of 10 ri.


After the Jeongyujae Rebellion, Beopneung Royal Tomb was rebuilt, and Haeneung Royal Tomb was rebuilt in 1634, and the size of the temple gradually decreased after several reconstruction. In 1802 (the 2nd year of King Sunjo's reign), Deukseong was extensively reconstructed. In addition, Seoldu was rebuilt in 869 (6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Seolpa in 1876 (16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and Dongseong in 1879 (16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Seolje repaired it in 1938, followed by reconstruction in 1984, and renovated it in 1996, including a new tile.


It serves as a Jungmun Gate that enters the center of Cheongwangmun Gate/Sinsa Temple grounds.


Existing buildings include Daeungjeon Hall (Treasure 830), which retains the style after the mid-Joseon Period, as well as Palsangjeon Hall, Chilseonggak Pavilion, Ilgwangdang, Myeongbujeon Hall, Manseru Pavilion, Beomjongru Pavilion, Hyangrojeon Hall, and Cheonwangmun Gate (Jeonnam Tangible Cultural Heritage 159). In addition, there is a 700-year-old oak tree (natural monument 112), which is said to have been planted by Gakjinguksa Temple.


Daeungjeon Hall, a Buddhist temple dedicated to the Buddha statue of Sakyamuni, seems to have been built before the 18th century, and it is presumed that it was changed in 1764 after it was found to have written "The 29th Year of Geonryung" in the middle of tiles. After that, it was repaired in the 3rd year (1909) of Yoonghui.

Daeungjeon Hall of Bulgapsa Temple / Photo Source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size is three bays in front space.It has three bays on the side, and the roof is a hipped-and-gabled roof similar to the shape of eight arms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structure decorated and woven to support the roof eaves is a Dapo style that is located not only on top of the pillars but also between the pillars. From the top of the roof, you can see a small stone pagoda and a decoration carved with barley water, and a dragon head is carved on the left and right pillars of the middle compartment. In addition, the door in the middle compartment is decorated in the shape of lotus flowers and chrysanthemums, giving a glimpse of the outstanding skill of carving bars. The head of a dragon is also decorated on the inner corner of the building, and the ceiling is decorated in the shape of a well pavilion.

It is a wooden Buddhist temple build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ith colorful patterns and sculptures, and it preser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well, making it an important research material.

Seated Buddha Triad of Wooden Sakyamuni Buddha in Bulgapsa Temple, Yeonggwang

It is a wooden seated Buddha statue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of Bulgapsa Temple, and the Yaksa Buddha is placed on the left and the Amitabha Buddha is located on the right, centering on the Sakyamuni Buddha in the center.


Sakyamuni Buddha is the main Buddha, and it looks stable because it has the largest and strongest body among the three Buddhas and has wide knees. On the head wher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ix worlds is not clear, the normal relay and the central relay are depicted in a large way, and a calm smile is visible on the square face. The two ears are long and stretched to the shoulders, and the three folds, Samdo, are distinct on the slightly thicker neck. The clothes reveal the right arm in the form of covering both shoulders, and the wrinkles of the clothes flow naturally over both legs. Suin is playing the role of an anti-horse contactor, and both hands are expressed as if they were the hands of a real person, so the realism stands out.

Yaksa Buddha and Amitabha Buddha also show characteristics in common with the main Buddha, Sakyamuni Buddha, in detailed expressions such as unclear Yukgye, expanded face, clear features, bulky and comfortable posture, realistic hands, and naturally flowing folds of clothes. However, if there is a difference, the size is somewhat smaller than that of Sakyamuni Buddha, and the right arm is not exposed on the clothes that cover both shoulders, and it is shaped like an Amitine's hand.


Buddhist monk Muyeom and other monks in 1635 were found inside the Buddha statue.It can be seen that it was created by 10 painters such as Dowoo and Seongsu.

This Buddha statue is the earliest painting ever handed down in Jeolla-do.It is evaluated as a standard work in understanding the works and trends of the Muyeom faction, which were widely active through Chungcheong-do and Gangwon-do areas.

Manseru of Bulgapsa Temple


Yeonggwang Bulgapsa Temple Disclaimer Record (寺藏출사진)典-籍문화재처/)/Photo Sourc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Most of the clothes from the Myeongbujeon Hall, Palsangjeon Hall, and Sacheonwangsang were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cluding Buddhist scriptures such as Beophwagyeong and Geumganggyeong, as well as books related to Zen Buddhism, and amphibious materials. They are valuable materials for examining the forms of Korean Buddh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addition, 31 ancestral texts such as Nahansang and Siwangsang, and 10,000 years of Buddhist literature imported from China have a great influence on Korean Buddhist history, making them invaluable materials for studying Korean Buddhist ideas and culture.

영광 불갑사 참식나무 자생북한지(靈光 佛甲寺 참식나무 自生北限地), 사진은 영광불갑면의참식나무잎과열매

The oak tree is a tree belonging to the green tree family, and is distributed in Korea, Japan, Taiwan, and China. In Korea, it is growing in Ulleungdo Island and warm areas in the south.


The North Korean area, native to the oak tree in Bulgap-myeon, Yeonggwang, is located in the middle of a mountain behind a temple called Bulgapsa Temple. The height of the trees is about 6m and grows in places. Camellia, red pine, and zelkova trees grow around it.

According to legend, a monk named Jeong-un, who was in this templ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met an Indian princess and fell in love while studying in India. Upon learning of this, the king of India made Monk Jeong-un leave India. The princess, who was sad about her separation from Monk Jeong-un, picked the tree fruit where the two met, and the monk brought the fruit and planted it, and it is said that it grew into a oak tree. The native trees are said to have been grown by spreading the seeds of the trees.

The North Korean area, which is native to oak trees in Bulgap-myeon, Yeonggwang, is the northernmost area where oak trees can grow, and i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because of its high plant distribution research value and cultural value that informs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India and Korea.It's protecting.


Yeonggwang Bulbapsa Temple Beomjongru Pavilion

According to Ju Jong-ki, the Dongjong of Bulgapsa Temple in Yeonggwang recorded that it was created by "鍾寺으로'년水成元에 숙" 28 " 의해에" in 1702 (the 28th year of King Sukjong of Joseon).

The Dongjong of Bulgapsa Temple is a species from the early 18th century, where the date of production, production craftsman, burial place, and donor are identified due to the remaining main bell period. It not on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e spec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also confirms the history of the masters, and is an important work for the study of the masters.

Daylight Party


Unaudited Yeongwolru Pavilion

Yeonggwang Bulgap accident-grade wish list Byeongrok/Jeollanam-do Cultural Heritage Material No. 205

It was designated as Jeollanam-do Cultural Heritage Material on February 26, 1999. It consists of 87 chapters of 1 book, and is the only literature related to Bulgapsa Temple. With the origin of the chief monk Chae-eun, records on the historical site and Yangjeon of Bulgapsa Temple, which were handed down at the time, were transcribed at Seungwonmun Gate.Jingak Guksabi, the oldest document on the temple, is handed down to the Dongmunseon at the inscription bay. From this literature, we can see the construction date and the contents that Lee Je-hyeon narrated the inscription in 1359 (the 8th year of King Gongmin).

Both sides of the Bulgapsa Temple have very high historical value. Looking at the reason, first, it has universal value as a data because it follows the form of writing on both sides of the Joseon Dynasty, and second, the list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writing both sides is recorded in detail, and the head of Yeonggwang-gun is signed at the end to prove its historical value.

Third, it was written according to the careful plan of Chae-eun, the chief monk of Bulgapsa Temple at the time, and fourth, it was systematically written by a person at a time, and all the contents of the text were written in the same person's font. In addition to the historical and financial situation of Bulgapsa Temple at that time, the temple economy and society in the late Joseon Dynasty.It is a valuable material to look at one side of economic history.


Palsangjeon Hall of Bulgapsa Temple in Yeongsanhoe Sangdo Hall of Yeonggwang Bulgapsa Temple Myeongbujeon Wooden Jang Bodhisattva Triad and Siwangsang Batch/Source of Photography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statues of Bulgapsa Temple's Myeongbujeon Hall were created by Muyeom, a sculptor who built the Seated Wooden Buddha of Daeungjeon Hall (1635) in the 5th year of King Hyojong's reign (1654), and his disciples, Haesim, and his faction sculptors. In the original text found in various statues, including the Jijang Bodhisattva statue, there is a record of teacher Muyeom and Jeonghyeon, which is believed to be the death penalty, in front of the name of the sea spirit of Suhwaseung in Hwawonjil, so you can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 sculptor and a monk in the late Joseon Dynasty.

영광 불갑사 팔상전 영산회상도(靈光 佛甲寺 八相殿 靈山會上圖)/사진출처-문화재청

The Yeongsan Hoesangdo at Palsangjeon Hall in Bulgapsa Temple in Yeongchuksan Mountain is a work that illustrates the preaching scene performed by Sakyamuni, and it is a work that shows the producer and production date clearly by the record of the firework. It was produced by 15 Buddhist monks, including Bihyeon, in 1777.


Yeongsan Hoesangdo has a stable composition, screen change, and color.It uses the painting style of the late 18th century, such as the use of vivid shades such as bright red and bright blue, the mutual facial expressions of the characters, and the thin and delicate se-pil's line drawings, and it can be said to be a good painting.

In particular, the paint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work were Bihyeon, Bokchan, and Kwae-yoon, who were active from the mid-18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and they were the artists of the Buddhist monk school who expanded their scope to the Gyeongsang-do area. The preservation condition is good, and the artistic value as a painting work is great, as well as the preservation value as a work of outstanding painters./ Photo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reporter Yoon Jung-sook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