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시 구석 구석 122] 죽음으로 절개를 지킨 '이개'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2-11-23 17:25:39
  • 수정 2024-04-10 10:17:29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이개는 조선 단종 때의 문신.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청보(清甫).백고(伯高), 호는 백옥헌(白玉軒). 색(穡)의 증손이고, 중추원사 종선(種善)의 손자이고, 계주(季疇)의 아들이다.


태어나면서 글을 잘 지어 할아버지의 유풍(遺風)이 있었다. 1436년(세종 18) 사마시에 합격해 진사가 되고, 1441년에 집현전저작랑으로서 당나라 명황(明皇)의 사적을 적은 '명황계감(明皇誡鑑)'의 편찬에 참여하고, 훈민정음의 제정에도 참여했다.


1444년 집현전부수찬으로서 의사청(議事廳)에 나가 언문(諺文 ; 國文)으로 '운회(韻會)'를 번역하는 일에 참여해 세종으로부터 후한 상사(賞賜)를 받았다. 1447년 9월에 '동국정운'의 편찬에 참여했고, 1448년 지대구군사(知大邱郡事) 이보흠(李甫欽)이 조정에 사창(社倉)을 설치할 것을 주장했을 때 백성들에게 부담을 준다는 점을 들어 반대했다.



1450년(문종 즉위년) 문종이 어린 왕세자를 위해 서연(書筵)을 열어 사(師).빈(賓)의 상견례를 행할 때에 그는 좌문학(左文學)의 직책으로서 '소학'을 진강(進講)했는데, 문종으로부터 세자를 잘 지도해달라는 간곡한 부탁을 받았다.


1453년(단종 1) 10월에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을 보좌하고 있던 대신 황보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을 살해하고 정권을 쥔 이른바 계유정난을 일으켜 이 거사에 참여한 공신을 책정할 때에 환관 엄자치(嚴自治)와 전균(田畇)이 공로가 있다는 이유로 공신에 기록하고 봉군(封君)까지 하려고 했다.


집의로서 좌사간인 성삼문(成三問)과 함께 환관의 폐해가 망국패가에 이르게 되는 옛날의 예를 들어서 이들에게는 재백(財帛)으로써 상만 내리고 공신과 봉군은 절대로 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힘써 아뢰었다. 같은 해 12월에는 글을 올려 근일에 시정(時政)의 몇 가지 일로써 여러 번 임금의 총명을 모독했으나 한가지도 윤허를 받지 못하므로 사직하기를 청했으나 윤허되지 않았다.



1456년(세조 2) 2월에 집현전부제학에 임명됐으나, 같은 해 6월에 성균관사예 김질의 고변에 의해 성삼문 등 육신(六臣)이 주동이 돼 상왕을 복위시키려는 계획이 발각됐는데, 박팽년(朴彭年).하위지(河緯地).유응부(兪應孚).유성원(柳誠源)과 함께 국문을 당했다.


이때 그는 작형(灼刑)을 당하면서도 태연했다고 한다. 성삼문 등과 함께 같은 날 거열형(車裂刑)을 당했는데, 수레에 실려 형장으로 갈 때 "우정(禹鼎 ; 夏나라 우왕이 9주의 쇠를 거두어 9주를 상징하여 만든 아홉 개의 솥)처럼 중하게 여길 때에는 사는 것도 또한 소중하지만/홍모(鴻毛 ; 기러기의 털, 즉 아주 가벼운 물건의 비유)처럼 가벼이 여겨지는 곳에는 죽는 것도 오히려 영광이네/새벽녘까지 잠자지 못하다가 중문 밖을 나서니/현릉(顯陵 : 문종의 능)의 송백이 꿈속에 푸르고나!"라는 시를 지었다. 



이때 이개의 매부인 전 집현전 부수찬인 허조도 자결했는데, 단종복위의 모의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뒤에 남효온(南孝溫)이 그 당시 공론(公論)에 의거해 단종복위사건의 주도인물인 성삼문.박팽년.하위지.이개.유성원.유응부 등 6인을 선정, '육신전(六臣傳)'을 지었다. 이 '육신전'이 세상에 공포된 뒤 육신의 절의를 국가에서 공인, 1691년(숙종 17)에 와서 사육신의 관작을 추복(追復)시켰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노량진의 민절서원(愍節書院), 홍주의 노운서원(魯雲書院) 등에 제향됐다.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한국의 전통사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조선왕릉 이어보기더보기
 한국의 서원더보기
 전시더보기
 한국의 향교더보기
 궁궐이야기더보기
 문화재단소식더보기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