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복지부, 심뇌혈관질환정책 골든타임 중증.응급치료 강화
  • 박광준 기자
  • 등록 2023-07-07 07:19:50

기사수정


[박광준 기자] 정부가 심뇌혈관질환 관리 정책을 예방.관리 중심에서 중증.응급치료 중심으로 강화한다.


1차 예방은 선행 질환별 접근에서 환자 중심의 통합적 접근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5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제2차 심뇌혈관질환 관리 종합계획(2023∼2027)' 공청회에서 이 같은 추진 방향을 제시했다.


심뇌혈관질환의 예방.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종합계획은 심근경색, 뇌졸중 등 질병 부담과 중증도가 높아 개인 고통과 사회적 손실을 유발하는 심뇌혈관질환을 종합적·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립됐다.


복지부는 제1차 종합계획(2018∼2022)이 심뇌혈관질환 위험에 대한 대국민 인식을 개선하고, 증상 인지.대처 능력을 높였고, 고혈압.당뇨병 관리를 강화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다만 심뇌혈관질환 법 제정 이전의 관련 정책과 비교해 예산 등 실행력이 미흡했고 중앙-권역-지역 체계가 완전히 구축되지 못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복지부는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제2차 종합계획의 핵심 목표를 '신속한 중증.응급 해결 강화 등으로 설정하고, 환자 중심 의료이용체계를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골든타임(심근경색 120분.뇌졸중 180분)을 사수하기 위해 증상 발생 즉시 환자와 가족이 인지.대응하도록 중증.응급요령 교육 등을 강화해 대처법을 확산시킬 계획이다. 또 심뇌혈관질환 의료이용 지도와 함께 권역.지역센터 등록 환자를 위한 응급 핫라인과 이송 지원 등도 제공한다.


김한숙 복지부 질병정책과장은 "심뇌혈관질환 정책을 중증.응급 치료 중심으로 강화하고 환자.가족의 대응력을 높이는 것이 제2차 종합계획의 의의"라면서, "1차 예방은 선행질환별 접근에서 환자 중심 통합 접근으로 추진하고 의료인력 네트워킹 효율화와 현장 개방적 소통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이날 공청회에서 나온 의견을 반영해 종합계획(안)을 보완하고 제2차관이 위원장인 심뇌혈관질환 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확정할 예정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천년 역사향기더보기
 박정기의 공연산책더보기
리스트페이지_R002
리스트페이지_004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